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8 사리불이(事理不二)
  • 제8 사리불이 0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8 사리불이 011


譬夫象이 非雪山이나 假雪山야 而類象者 此 但取其能類耳언 豈以雪山로 而爲象耶ㅣ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가비건댄 象이 雪山이 아니나 雪山 브터 象 다호 주001)
다호:
같다함은. -[如]+다+-+오+ㅁ+. 중세국어에 ‘-, -, -, -’ 등의 다양한 표기형태가 나타남.
이 오직 能히 호 取 니언 엇뎨 雪山으로 象 사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비유하건데 코끼리가 설산이 아니나 설산을 빌어 코끼리 같다 함은 이는 오직 능히 같음을 취할 뿐인데 어찌 설산으로 코끼리를 삼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

선종영가집언해 권하:87ㄴ

雪山은 喩能詮시고 象은 喩所詮시니 意云호 能詮이 非所詮이니 假其況矣샷다 涅槃애 云샤 白象鮮潔이 猶如雪山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雪山 能詮 주002)
능전(能詮):
진리를 나타내는 글귀나 말. 곧 경문(經文)을 이름. 여기서는 불교의 경전.
 가비시고 象 所詮 주003)
소전(所詮):
설명된 것. 경문(經文)에 나타난 문구 속의 뜻을 이름. 능전(能詮)의 상대어.
을 가비시니 덴 닐오 能詮이 所詮이 아니니 가뵤 브트샷다 涅槃애 니샤 白象 조호미 주004)
조호미:
깨끗함이. 맑음이. 좋-[淸淨]+오+ㅁ+이. 중세국어에 사동형으로 ‘조오-’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기본형이 ‘조-’일 가능성도 있음. ‘ㆍ’ 탈락으로 ‘좋-’형이 생성된 것으로 보임. 이런 유형의 형태변화 예로는 ‘퍼러-〉퍼렇-, 엇더-〉어떻-’ 등등이 있음.
雪山 다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설산은 능전
(=경전)
을 비유하시고, 코끼리는 소전(경전의 내용)을 비유하시니 뜻에 이르되, 능전이 소전이 아니니 비유함을 의지하였다. 〈열반경〉에 이르시되, “흰 코끼리의 깨끗함이 설산과 같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호:같다함은. -[如]+다+-+오+ㅁ+. 중세국어에 ‘-, -, -, -’ 등의 다양한 표기형태가 나타남.
주002)
능전(能詮):진리를 나타내는 글귀나 말. 곧 경문(經文)을 이름. 여기서는 불교의 경전.
주003)
소전(所詮):설명된 것. 경문(經文)에 나타난 문구 속의 뜻을 이름. 능전(能詮)의 상대어.
주004)
조호미:깨끗함이. 맑음이. 좋-[淸淨]+오+ㅁ+이. 중세국어에 사동형으로 ‘조오-’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기본형이 ‘조-’일 가능성도 있음. ‘ㆍ’ 탈락으로 ‘좋-’형이 생성된 것으로 보임. 이런 유형의 형태변화 예로는 ‘퍼러-〉퍼렇-, 엇더-〉어떻-’ 등등이 있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