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8 사리불이(事理不二)
  • 제8 사리불이 03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8 사리불이 036


是以로 萬法이 從緣이라 無自體耳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런로 萬法이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01ㄱ

緣 조촌 디라 주001)
디라:
것이므로. +ㅣ-+라. ‘ㆍ’ 탈락.
제 體 업스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런 까닭으로 만법이 인연을 좇은 것이므로 스스로 실체가 없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法性이 無體라 全指無明이오 無明이 無體라 全指法性이니 法性이 之與無明과 徧造諸法시 名之爲染이오 無明이 之與法性과 徧應衆緣시 號之爲淨이니 淸水濁水ㅣ 波濕이 無殊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法性이 體 업순 디라 오로 주002)
오로:
온전히. 100ㄱ 참조.
無明 치고 주003)
치고:
가리키고. 치-[指]+고. 중세국어에서 ‘치-’는 ‘지(指)’와 ‘교(敎)’ 두 뜻으로 다 사용됨.
無明이 體 업순 디라 오로 法性 치니 法性이 無明과 諸法 너비 주004)
너비:
널리. 넙-[廣]+이(부사화접미사).
지씨 주005)
지씨:
지으므로. -[作]+(으)ㄹㆆ++ㅣ. ‘ㆍ’ 탈락.
일후미 더러우미오 無明이 法性과 衆緣 주006)
중연(衆緣):
많은 인연.
 너비 應씨 일후미 조호미니 주007)
조호미니:
깨끗함이니. 맑음이니. 좋-[淸淨]+오+ㅁ+ㅣ-+니.
 주008)
:
맑은. -[淸,淨]+.
믈와 주009)
믈와:
물과. 믈[水]+와/과. ㄹ 아래서 ㄱ약화.
흐린 므리 波와 濕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01ㄴ

이 달옴 업스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법성이 실체가 없는 것이므로 온전히 무명을 가리키고 무명이 실체가 없는 것이므로 온전히 법성을 가리키니 법성이 무명과 제법을 널리 지우므로 이름이 ‘더러움’이고, 무명이 법성과 많은 인연을 널리 응(應)하므로 이름이 ‘맑음’이니 맑은 물과 흐린 물이 물결과 젖음과 다름이 없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디라:것이므로. +ㅣ-+라. ‘ㆍ’ 탈락.
주002)
오로:온전히. 100ㄱ 참조.
주003)
치고:가리키고. 치-[指]+고. 중세국어에서 ‘치-’는 ‘지(指)’와 ‘교(敎)’ 두 뜻으로 다 사용됨.
주004)
너비:널리. 넙-[廣]+이(부사화접미사).
주005)
지씨:지으므로. -[作]+(으)ㄹㆆ++ㅣ. ‘ㆍ’ 탈락.
주006)
중연(衆緣):많은 인연.
주007)
조호미니:깨끗함이니. 맑음이니. 좋-[淸淨]+오+ㅁ+ㅣ-+니.
주008)
:맑은. -[淸,淨]+.
주009)
믈와:물과. 믈[水]+와/과. ㄹ 아래서 ㄱ약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