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9 권우인서(勸友人書)
  • 제9 권우인서 015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9 권우인서 015


夫欲採妙探玄인댄 實非容易니 決擇之次애 如履經氷야 必須側耳目而奉玄音며 肅情塵而賞幽致야 忘言宴旨며 濯累飡微야 夕愓朝詢호 不濫絲髮이니 如是則乃可潛形山谷야 寂慮絶群哉리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妙 採며 玄 探호려 홀띤댄 實로 쉽디 아니니 決야  쩨 주001)
 쩨:
가릴 때. 가려낼 때. -[擇]+ㄹㆆ+제.
열운 주002)
열운:
엷은. -[薄]+우+ㄴ. 혹은 ‘-+은→열〉열운’으로 분석할 수도 있음.
어름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12ㄱ

야 모로매 耳目 기우려 玄妙 소리 비며 주003)
비며:
받들며. 빋-[奉]+()며.
情塵 주004)
정진(情塵):
정(情)은 마음 또는 감정을 의미하는 말이고, 진(塵)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니, 정진은 6경(六境)에 대해서 발동하는 좋지 못한 마음을 의미함.
싁싀기 주005)
싁싀기:
엄숙하게. 장엄하게. 싁싁-[肅]+이(부사화접미사).
야 가픈 주006)
가픈:
깊은. ‘가픈’의 ‘가’는 ‘기’의 오각인 듯함. 깊-[玄]+은.
里 과야 주007)
과야:
감상하여, 생각하여. 과-[賞]+야.
말 닛고 旨예 便安며  시서 微妙 맛보아 나조 주008)
나조:
저녁에. 나조ㅎ[暮]+. ㅎ곡용어.
두리며 주009)
두리며:
두려워 하며. 조심하며. 두리-[惕]+며.
아 무로 絲髮도 외오 주010)
외오:
그르다고. 외-[非]+오/고.
아니홀띠니 이 면 어루 주011)
어루:
가히. 능히.
山谷애 모 수머 慮 寂며 므 주012)
므:
무리를. ‘므’은 ‘무’의 오각임. 물[群]+.
그츠리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묘한 것을 캐고 깊은 것을 탐구하려 하는 데는 실로 쉽지 아니하니, 결단하여 가릴 때는 엷은 얼음을 밟듯이 하여 모름지기 귀와 눈을 기우려 깊고 오묘한 소리를 받들며 먼지 같은 감정을 엄숙하게 가다듬어서 깊은 이치를 생각하여 말씀을 잊고, 뜻을 편안히 하며 때를 씻어 미묘함을 맛보아 저녁에 조심하며 아침에 묻되 ‘실낱만큼도 그릇되다’고 아니할 것이니 이 같으면 가히 골짜기에 몸을 숨겨 생각을 고요히 하며 무리를 끊을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詩云호 戰戰兢兢야 如臨深淵며 如履薄氷이라 니 討論이 如此야 其道ㅣ 方成야 始可離群索居야 棲神物表리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詩예 닐오 저흐며 조심야 기픈 못 디러 주013)
디러:
임하여, 다다라. 디르-[臨]+어.
보며 열운 어름 다 주014)
다:
밟듯이 하다. ‘다’에서 ‘--’가 생략됨.
니 자 주015)
자:
찾아서. -[尋討]+아.
議論호미 이 야 그 道ㅣ 반기 이러 비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12ㄴ

르서 어루 무 여희오 흐러 주016)
흐러:
홀로 떨어져. 흩어져 외로이. 흗-[散]+어.(ㄷ변칙).
사라 物 밧긔 주017)
밧긔:
밖에. [外]+의(처소부사격조사).
神 두미 맛리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시에 이르되, “두려워하며 조심하여 깊은 못에 임하여 보듯 하며 엷은 얼음을 밟듯 한다.” 하니, 찾아서 의논함이 이 같아야만 그 도가 반드시 일어 비로소 가히 무리를 여의고 떨어져 홀로 살아 사물 밖에 정신을 둠이 마땅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 쩨:가릴 때. 가려낼 때. -[擇]+ㄹㆆ+제.
주002)
열운:엷은. -[薄]+우+ㄴ. 혹은 ‘-+은→열〉열운’으로 분석할 수도 있음.
주003)
비며:받들며. 빋-[奉]+()며.
주004)
정진(情塵):정(情)은 마음 또는 감정을 의미하는 말이고, 진(塵)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니, 정진은 6경(六境)에 대해서 발동하는 좋지 못한 마음을 의미함.
주005)
싁싀기:엄숙하게. 장엄하게. 싁싁-[肅]+이(부사화접미사).
주006)
가픈:깊은. ‘가픈’의 ‘가’는 ‘기’의 오각인 듯함. 깊-[玄]+은.
주007)
과야:감상하여, 생각하여. 과-[賞]+야.
주008)
나조:저녁에. 나조ㅎ[暮]+. ㅎ곡용어.
주009)
두리며:두려워 하며. 조심하며. 두리-[惕]+며.
주010)
외오:그르다고. 외-[非]+오/고.
주011)
어루:가히. 능히.
주012)
므:무리를. ‘므’은 ‘무’의 오각임. 물[群]+.
주013)
디러:임하여, 다다라. 디르-[臨]+어.
주014)
다:밟듯이 하다. ‘다’에서 ‘--’가 생략됨.
주015)
자:찾아서. -[尋討]+아.
주016)
흐러:홀로 떨어져. 흩어져 외로이. 흗-[散]+어.(ㄷ변칙).
주017)
밧긔:밖에. [外]+의(처소부사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