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39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39


悲智 雙運며 福慧로 兩嚴야 超越二乘야 獨居其上니 如是면 則大乘之道也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비(悲):
자비.
주002)
지(智):
지혜.
둘흘 주003)
둘흘:
둘을. 둘ㅎ[二]+을. ㅎ곡용어.
뮈우며 주004)
뮈우며:
움직이게 하며. 뮈-[동]+우(사동접미사)+며.
福과 주005)
혜(慧):
지혜.
로 둘흘 莊嚴야 주006)
장엄(莊嚴)야:
꾸미어. 장엄(莊嚴)+-+야. 중세국어에서는 동사로 쓰임. 현대국어에서는 형용사로 쓰임.
二乘 주007)
이승(二乘):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을 말함.
에 건너 오 주008)
오:
혼자, 홀로. 〉오〉호자〉혼자. 오〉오아. 올로〉홀로. 등의 형태변화가 있음. 현대국어 ‘혼자’와 ‘홀로’는 어원이 같음.
우희 주009)
우희:
위에. 우ㅎ[上]+의. ㅎ곡용어. 특이처소부사격조사 ‘의’를 요구하는 체언.
잇니 이 면 大乘道 주010)
대승도(大乘道):
대승의 도. 대승의 진리.
ㅣ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자비와 지혜 둘을 움직이게 하여 복과 혜(慧)로 둘을 꾸며서 2승(二乘)에 건너(2승을 초월하여) 홀로 위에 있으니, 이 같으면 ‘대승도(大乘道)’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結歎菩薩이 逈異二乘시니 道와 觀과 雙流샤

선종영가집언해 권하:55ㄱ

化功이 歸已실 故로 曰샤 大乘之道也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菩薩이 二乘에 머리 주011)
머리:
멀리. 멀-[逈]+이(부사화접미사).
달오 주012)
달오:
다름을. 다-[異]+오+ㅁ+. 변칙활용.
結야 주013)
결(結)야:
묶어서. 결(結)+-+야.
讚歎시니 道와 觀과 둘흘 흘리샤 주014)
흘리샤:
흘리시어. 흐르-[流]+이(사동접미사)+시+아. 르변칙활용.
化논 功이 모매 도라오실 니샤 大乘道ㅣ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보살이 이승과 멀리
(=매우)
다름을 묶어서
(=결론하여)
찬탄하시니 도와 관을 둘을 흘리시어(함께 펼치시어) 교화하는 공이 몸
(=자기)
(=게)
돌아오기 때문에 이르시되 ‘대승도(大乘道)’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비(悲):자비.
주002)
지(智):지혜.
주003)
둘흘:둘을. 둘ㅎ[二]+을. ㅎ곡용어.
주004)
뮈우며:움직이게 하며. 뮈-[동]+우(사동접미사)+며.
주005)
혜(慧):지혜.
주006)
장엄(莊嚴)야:꾸미어. 장엄(莊嚴)+-+야. 중세국어에서는 동사로 쓰임. 현대국어에서는 형용사로 쓰임.
주007)
이승(二乘):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을 말함.
주008)
오:혼자, 홀로. 〉오〉호자〉혼자. 오〉오아. 올로〉홀로. 등의 형태변화가 있음. 현대국어 ‘혼자’와 ‘홀로’는 어원이 같음.
주009)
우희:위에. 우ㅎ[上]+의. ㅎ곡용어. 특이처소부사격조사 ‘의’를 요구하는 체언.
주010)
대승도(大乘道):대승의 도. 대승의 진리.
주011)
머리:멀리. 멀-[逈]+이(부사화접미사).
주012)
달오:다름을. 다-[異]+오+ㅁ+. 변칙활용.
주013)
결(結)야:묶어서. 결(結)+-+야.
주014)
흘리샤:흘리시어. 흐르-[流]+이(사동접미사)+시+아. 르변칙활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