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6 우필차송(優畢叉頌)
  • 제6 우필차송 03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우필차송 034


是以로 卽心爲道者 可謂尋流而得源矣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런로  卽야 道리 주001)
도(道)리:
도(道)로 삼는 이(사람)는. 도(道)+-+ㄹㆆ+이(의존명사)+.
흘로 주002)
흘로:
흐름을. 흐르-[流]+오+ㅁ+. 약모음 ‘ㅡ’ 탈락. 르변칙활용.
자 根源 얻다 니리로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러므로 마음을
(=에)
즉하여 도를 구하는 이는 흐름을 찾아 근원을 얻는다 말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心其道者 日用호 而了知오 流其源者 游泳야 而可測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 道 린 주003)
린:
마음으로 삼는 이(사람)는. [心]+-ㄹㆆ+이(의존명사)+ㄴ.
날로   주004)
:
사뭇. -+Ø/이(영형태부사화접미사). 어간형부사. 〉. 8종성표기.
알오 그 根源을

선종영가집언해 권하:16ㄴ

린 주005)
유(流)린:
흐름으로 삼는 이는. 유(流)+-+ㄹㆆ+이(의존명사)+ㄴ.
허여 주006)
허여:
헤엄쳐. 허이-[遊泳]+어.
어루 주007)
어루:
가(可)히.
알리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그 도를
(=로서)
마음 삼는 이는 날마다 쓰되 사뭇 알고, 그 근원을
(=으로)
흐름 삼는 이는 헤엄쳐 알 수 있을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道)리:도(道)로 삼는 이(사람)는. 도(道)+-+ㄹㆆ+이(의존명사)+.
주002)
흘로:흐름을. 흐르-[流]+오+ㅁ+. 약모음 ‘ㅡ’ 탈락. 르변칙활용.
주003)
린:마음으로 삼는 이(사람)는. [心]+-ㄹㆆ+이(의존명사)+ㄴ.
주004)
:사뭇. -+Ø/이(영형태부사화접미사). 어간형부사. 〉. 8종성표기.
주005)
유(流)린:흐름으로 삼는 이는. 유(流)+-+ㄹㆆ+이(의존명사)+ㄴ.
주006)
허여:헤엄쳐. 허이-[遊泳]+어.
주007)
어루:가(可)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