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6 우필차송(優畢叉頌)
  • 제6 우필차송 049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우필차송 049


第六 重出觀體者 秪知一念이 卽空이며 不空이며 非有ㅣ며 非無  코 不知卽念이 卽空이며 不空이며 非非有ㅣ며 非非無  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第六 觀體 주001)
관체(觀體):
관의 체.
다시 내요 주002)
내요:
냄. 드러냄. 나-[出]+이(사동접미사)+요/오+ㅁ+.
오직  주003)
념(念):
생각.
이 곧 空이며 不空 주004)
불공(不空):
공(空)이 아님.
이며 非有 주005)
비유(非有):
있음이 아님.
ㅣ며 非無 주006)
비무(非無):
없음이 아님.
  알오 곧 念이 곧 空이며 不空

선종영가집언해 권하:23ㄴ

이며 非有 아니며 非無 아닌  아디 몯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제육, 관체를 다시 드러내는 것은, 오직 한 염(念)이 곧 공이며 불공(不空)이며 비유(非有)이며 비무(非無)인 줄을 알고, 곧 염이 곧 공이며 불공이며 비유가 아니며 비무가 아닌 줄을 알지 못한다(못하기 때문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前엔 明三觀이라 似次第而卽中고 此앤 論一心이라 不前後而圓具니 前은 以二非로 破所시고 此 加二非샤 破能시니 前後ㅣ 相須야 妙無二矣샷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알 三觀 기샨 주007)
기샨:
밝히신. -[明]+이(사동접미사)+시+아+ㄴ.
디라 次第로 주008)
중(中):
중도관(中道觀). 삼관의 하나.
에 卽 고 이 一心 論샨 디라 前後 아니야 두려이 니 알 二非로 주009)
소(所):
관찰되는 대상. 객체(客體).
 허르시고 이 二非 더으샤 주010)
더으샤:
더하시어. 더으-[加]+시+아. 더으-〉더-〉더하-. 유추에 의한 형태변화.
주011)
능(能):
관찰하는 주체(主體).
을 허르시니 前後ㅣ 서르 기드려 微妙ㅣ 둘 업스샷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앞에서는 세 가지 관법을 밝히신 것이므로 차례로 중관(中觀)에 나아간 듯하고, 여기에는 일심을 논하신 것이므로 전후는 아니라 하나 원만하게 갖추어지니, 앞은 이비(二非)로 소(所)를 없애시고 여기서는 이비(二非)를 더하시어 능(能)을 없애시니 전후가 서로 기다려 미묘하게 둘이 없으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관체(觀體):관의 체.
주002)
내요:냄. 드러냄. 나-[出]+이(사동접미사)+요/오+ㅁ+.
주003)
념(念):생각.
주004)
불공(不空):공(空)이 아님.
주005)
비유(非有):있음이 아님.
주006)
비무(非無):없음이 아님.
주007)
기샨:밝히신. -[明]+이(사동접미사)+시+아+ㄴ.
주008)
중(中):중도관(中道觀). 삼관의 하나.
주009)
소(所):관찰되는 대상. 객체(客體).
주010)
더으샤:더하시어. 더으-[加]+시+아. 더으-〉더-〉더하-. 유추에 의한 형태변화.
주011)
능(能):관찰하는 주체(主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