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79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79


是以로 鑒玄之侶 淨三受於心源고 滌穢之流

선종영가집언해 권하:76ㄴ

 掃七支於身口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런로 기푸믈 주001)
기푸믈:
깊음을. 깊-[深]+우+ㅁ+을.
비취 주002)
비취:
비추는. 비취-[鑒]+.
무른 주003)
무른 :
무리는. 물[群, 流]+은. 물〉무리. 다음절화.
三受 주004)
삼수(三受):
3종의 감각. 고수(苦受), 낙수(樂受), 사수(捨受) 즉 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 등 세 가지.
心源 주005)
심원(心源):
마음의 근원.
조오고 주006)
조오고:
맑게 하고. ‘조-[淸]+이(사동접미사)+오(사동접미사)+고’.
더러움 싯 주007)
싯:
씻는. 싯-[洗]++ㄴ.
무른 七支 주008)
칠지(七支):
신삼(身三)과 구사(口四)의 악업을 말함. 신삼은 살생, 투도, 사음이며, 구사는 망언, 기어, 악구, 양설 등.
身口 주009)
신구(身口):
신업(身業)과 구업(口業).
러 주010)
러:
쓸어. -[掃]+어.
리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런 까닭으로 깊음을 비추는 무리는 3수(三受)를 심원(心源)에 맑게 하고, 더러움을 씻는 무리는 7지(七支)를 신구(身口)에 쓸어 버리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學道之流 須脩三業이니 三業이 不淨면 知而奚爲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道 호 무른 모로매 三業을 닷골띠니 주011)
닷골띠니:
닦을 것이니. -[修]+오+ㄹㆆ++ㅣ-+니.
三業이 조티 주012)
조티:
맑지. 조-[淸]+디. ‘ㆍ’ 탈락, 음운 축약.
아니면 안 주013)
안:
안다고 한들. 안들. 알[知]+ㄴ+. ㄹ탈락.
므슴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도를 배우는 무리는 모름지기 3업을 닦을 것이니 3업이 맑지 아니하면 안다한들 무엇하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기푸믈:깊음을. 깊-[深]+우+ㅁ+을.
주002)
비취:비추는. 비취-[鑒]+.
주003)
무른 :무리는. 물[群, 流]+은. 물〉무리. 다음절화.
주004)
삼수(三受):3종의 감각. 고수(苦受), 낙수(樂受), 사수(捨受) 즉 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 등 세 가지.
주005)
심원(心源):마음의 근원.
주006)
조오고:맑게 하고. ‘조-[淸]+이(사동접미사)+오(사동접미사)+고’.
주007)
싯:씻는. 싯-[洗]++ㄴ.
주008)
칠지(七支):신삼(身三)과 구사(口四)의 악업을 말함. 신삼은 살생, 투도, 사음이며, 구사는 망언, 기어, 악구, 양설 등.
주009)
신구(身口):신업(身業)과 구업(口業).
주010)
러:쓸어. -[掃]+어.
주011)
닷골띠니:닦을 것이니. -[修]+오+ㄹㆆ++ㅣ-+니.
주012)
조티:맑지. 조-[淸]+디. ‘ㆍ’ 탈락, 음운 축약.
주013)
안:안다고 한들. 안들. 알[知]+ㄴ+. ㄹ탈락.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