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6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66


時復空中에 行住며 或坐臥之安然며 汎沼면 則輕若鴻毛고 涉地면 則猶如履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時예 주001)
시(時)예:
때로는. 때때로.
 空中에 行住 주002)
행주(行住):
돌아다니기도 하고 머무르기도 함.
며 시혹 주003)
시혹:
혹시. 시혹〉혹시. 음절도치.
坐臥 주004)
좌와(坐臥):
앉기도 하고 눕기도 함.
 便安히 며 모새 주005)
모새:
연못에. 못[池]+애.
면 주006)
며:
뜨며. -[浮]+며.
가야오미 주007)
가야오미:
가벼움이. 가-[輕]+오+ㅁ+이. ㅂ변칙활용.
그려긔 주008)
그려긔:
기러기의. 그려긔[雁] + Ø/의(영형태관형격조사). 그려긔〉기러기.
터리 주009)
터리:
털과. 털[毛]+이(비교부사격조사). 중세국어에서 ‘터럭[毛]’과 동시에 쓰임.
고

선종영가집언해 권하:68ㄱ

 주010)
:
땅을. ㅎ[地]+. ㅎ곡용어.
건너면 믈 옴 주011)
옴:
밟음. -[履]+오+ㅁ. ‘’ 약화.
티 주012)
티:
같이. [如]+이(부사화접미사). ‘ㆍ’ 탈락. 음운축약. ㅎ+이〉티.
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때로는 또 공중에 돌아다니기도 하고 머물기도 하며, 때로는 앉기와 눕기를 편안히 하며, 연못에 뜨면 가벼움이 기러기의 털과 같고, 땅을 건너면 물을 밟음과 같이 한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法華애 云샤 入地如水며 履水如地라 시니 合上면 可知리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法華 주013)
법화(法華):
〈법화경〉. 〈묘법연화경〉의 준말.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오신 뜻을 설명하였으며, 모든 법의 실상을 말하여 성문, 연각, 보살 등의 3승이 결국 한 일불승으로 돌아간다고 하였음.
애 니샤 해 드로 주014)
드로:
들어가되. 들-[入]+오+.
믈 티 며 믈 오 주015)
오:
밟되. -[履]+오+.
 티 다 시니 우흘 마초면 어루 주016)
어루:
능히, 가히.
알리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법화경〉에 이르시되, “땅에 들어가되 물 같이 하며 물을 밟되 땅과 같이 한다.” 하시니, 위를 맞추면 능히 알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시(時)예:때로는. 때때로.
주002)
행주(行住):돌아다니기도 하고 머무르기도 함.
주003)
시혹:혹시. 시혹〉혹시. 음절도치.
주004)
좌와(坐臥):앉기도 하고 눕기도 함.
주005)
모새:연못에. 못[池]+애.
주006)
며:뜨며. -[浮]+며.
주007)
가야오미:가벼움이. 가-[輕]+오+ㅁ+이. ㅂ변칙활용.
주008)
그려긔:기러기의. 그려긔[雁] + Ø/의(영형태관형격조사). 그려긔〉기러기.
주009)
터리:털과. 털[毛]+이(비교부사격조사). 중세국어에서 ‘터럭[毛]’과 동시에 쓰임.
주010)
:땅을. ㅎ[地]+. ㅎ곡용어.
주011)
옴:밟음. -[履]+오+ㅁ. ‘’ 약화.
주012)
티:같이. [如]+이(부사화접미사). ‘ㆍ’ 탈락. 음운축약. ㅎ+이〉티.
주013)
법화(法華):〈법화경〉. 〈묘법연화경〉의 준말.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오신 뜻을 설명하였으며, 모든 법의 실상을 말하여 성문, 연각, 보살 등의 3승이 결국 한 일불승으로 돌아간다고 하였음.
주014)
드로:들어가되. 들-[入]+오+.
주015)
오:밟되. -[履]+오+.
주016)
어루:능히, 가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