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4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43


一엣 三일 非三이라 尙不三이어니 三앳 一인 之一이 亦何一이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엣:
-에 있는. -에(처소부사격조사)+ㅅ(사이소리). ‘ㅅ’은 관형격의 기능을 가짐.
三일 三이 아니라 오히려 三이 아니어니 三 주002)
앳:
-에 있는. -애(처소부사격조사)+ㅅ(사이소리). ‘애’는 양성모음 아래 붙음.
一인 一이  엇뎨 一이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하나에 있는 셋이므로 셋이 아니다. 오히려 셋이 아니거니, 셋에 있어서 하나인 하나가 또 어찌 하나이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此 合論三一시니 一中엣 之三이라 本無三며 三中엣 之一이라 本無一니 一와 三과 就機샤 權巧言矣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 三一을 뫼화 주003)
뫼화:
모아서. 뫼호-[集, 合]+아.
니시니 一中엣 三이라 本來

선종영가집언해 권하:57ㄱ

三이 업스며 三中엣 一이라 本來 一이 업스니 一와 三과 주004)
기(機):
장차 발동하려는 조짐을 기(機)라고 하는데, 부처님의 교법을 듣고 감화를 받을 수 있는 것은 모든 중생에게 이 기가 있기 때문이라 함.
나가샤 주005)
나가샤:
나아가시어. -[進]+아(연결어미)+가-[行]+시+아. 통사적 합성어.
주006)
권(權):
중생을 교화하려고 설정한 임시 방편.
으로 工巧히 니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것은 셋과 하나를 모아서
(=한꺼번에)
말한 것이니, 하나 가운데 셋이기 때문에 본래 셋이 없으며, 셋 가운데 있는 하나이기 때문에 본래 하나가 없으니, 하나와 셋은 근성에 나아가서
(=따라서)
임시 방편으로 공교하게 말씀하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엣:-에 있는. -에(처소부사격조사)+ㅅ(사이소리). ‘ㅅ’은 관형격의 기능을 가짐.
주002)
앳:-에 있는. -애(처소부사격조사)+ㅅ(사이소리). ‘애’는 양성모음 아래 붙음.
주003)
뫼화:모아서. 뫼호-[集, 合]+아.
주004)
기(機):장차 발동하려는 조짐을 기(機)라고 하는데, 부처님의 교법을 듣고 감화를 받을 수 있는 것은 모든 중생에게 이 기가 있기 때문이라 함.
주005)
나가샤:나아가시어. -[進]+아(연결어미)+가-[行]+시+아. 통사적 합성어.
주006)
권(權):중생을 교화하려고 설정한 임시 방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