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6 우필차송(優畢叉頌)
  • 제6 우필차송 04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우필차송 047


第五誡其踈怠者 然이나 渡海홀뎬 應須上船이니 非船이면 何以能渡ㅣ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第五 踈怠 주001)
소태(踈怠):
게으름. 나태함.
警戒호 그러나 바 주002)
바:
바다를. 바[海]+. 중세국어에서 ‘바’과 ‘바다ㅎ’가 공존함.
건널 뗸 모로매 주003)
모로매:
모름지기.
예 올올 띠니 주004)
올올 띠니:
오를 것이니. 탈 것이니. 오-[上]+오+ㄹㆆ++ㅣ-+니. 변칙활용.
 아니면 엇뎨 能히 건너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제오, 소태(踈怠)를 경계함은 그러나 바다를 건널 때는 모름지기 배에 오를 것이니, 배가 아니면 어찌 능히 건너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

선종영가집언해 권하:22ㄴ

淮南子ㅣ 曰호 未有捨舟楫고 能涉江海乎ㅣ라 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淮南子 주005)
회남자(淮南子):
(1)중국 전한(前漢)의 학자(?~B.C.123). 성은 유(劉). 이름은 안(安). 고조의 손자로 회남왕(淮南王)에 책봉됨. (2)중국 전한의 회남왕인 유안이 편찬한 철학서. 형이상학, 우주론, 국가 정치, 행위 규범 따위의 내용을 다룸. 원명은 〈회남홍렬(淮南鴻烈)〉이며, 현재는 21권만 전함. 여기서는 (1)의 뜻으로 쓰임.
ㅣ 닐오 와 주006)
:
상앗대. 노.
과 리고 能히 江海 건너리 주007)
건너리:
건널 사람. 건너-[渡]+ㄹㆆ+이.
잇디 아니타 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회남자가 이르되 “배와 노를 버리고 능히 강과 바다를 건널 사람이 있지 아니하다.” 하였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소태(踈怠):게으름. 나태함.
주002)
바:바다를. 바[海]+. 중세국어에서 ‘바’과 ‘바다ㅎ’가 공존함.
주003)
모로매:모름지기.
주004)
올올 띠니:오를 것이니. 탈 것이니. 오-[上]+오+ㄹㆆ++ㅣ-+니. 변칙활용.
주005)
회남자(淮南子):(1)중국 전한(前漢)의 학자(?~B.C.123). 성은 유(劉). 이름은 안(安). 고조의 손자로 회남왕(淮南王)에 책봉됨. (2)중국 전한의 회남왕인 유안이 편찬한 철학서. 형이상학, 우주론, 국가 정치, 행위 규범 따위의 내용을 다룸. 원명은 〈회남홍렬(淮南鴻烈)〉이며, 현재는 21권만 전함. 여기서는 (1)의 뜻으로 쓰임.
주006)
:상앗대. 노.
주007)
건너리:건널 사람. 건너-[渡]+ㄹㆆ+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