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6 우필차송(優畢叉頌)
  • 제6 우필차송 035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우필차송 035


第二出其觀體者 祗知一念이 卽空이며 不空이며 非空이며 非不空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第二 觀體 내요 주001)
내요:
냄은. 내-[出]+요/오+ㅁ+.
 念이 곧 空이며 不空이며 空 아니며 不空 아닌  아롤 띠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제이, 관체를 냄은 한 염(念)이 곧 공(空)이면서 불공(不空)이며, 공 아니면서 불공 아닌 줄을 알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先立三觀샤 令修시고 次驗相應의 深淺시니라 祗ㅈ字 恐悞노니 合作應ㅈ字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몬져 三觀 주002)
삼관(三觀):
유식론(唯識論)에서 세운 유(有), 공(空), 중(中)의 삼관을 말함.
셰샤 주003)
셰샤:
세우시어. 셔-[立]+이(사동접미사)+시+아. 후대에 ‘서-〉서이-〉세우-’로 이중사동형이 됨.
닷게 시고 버거 주004)
버거:
다음으로. 버그-[次]+어. 약모음 ‘ㅡ’ 탈락.
相應의 深淺을 마초시니라 祗ㅈ 字 왼가 주005)
왼가:
그른가. 잘못되었는가. 외-[非]+ㄴ+가.
너기노니 應ㅈ字 로미 주006)
로미:
만듦이. -[製]+오+ㅁ+이(주격조사).
맛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먼저 삼관(三觀)을 세우시어 닦게 하시고 다음으로 상응의 깊고 얕음을 맞추시었다. 지(祗) 자를 그른가 여기니 응(應) 자를 만듦이 마땅하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내요:냄은. 내-[出]+요/오+ㅁ+.
주002)
삼관(三觀):유식론(唯識論)에서 세운 유(有), 공(空), 중(中)의 삼관을 말함.
주003)
셰샤:세우시어. 셔-[立]+이(사동접미사)+시+아. 후대에 ‘서-〉서이-〉세우-’로 이중사동형이 됨.
주004)
버거:다음으로. 버그-[次]+어. 약모음 ‘ㅡ’ 탈락.
주005)
왼가:그른가. 잘못되었는가. 외-[非]+ㄴ+가.
주006)
로미:만듦이. -[製]+오+ㅁ+이(주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