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 제7 삼승점차(三乘漸次)
  • 제7 삼승점차 04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7 삼승점차 047


선종영가집언해 권하:58ㄴ

如是면 則一은 何所애 分며 三 何所애 合리오 合과 分괘 自於人耳언 何理ㅣ 異於言哉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면 주001)
면:
같으면. -[如]+면.
一은 어듸 주002)
어듸:
어디에(서). 어듸[何所]+Ø/예(영형태부사격조사).
호며 주003)
호며:
나누며. 나누어지며. 호-[分]+며.
三 어듸 뫼호리오 주004)
뫼호리오:
모으겠는가. 모아지겠는가. 뫼호-[合]+리+오.
合과 分괘 사게 브틀 주005)
사게 브틀:
사람에게 붙을. 사[人]+게+븥-[附]+을.
미언 주006)
미언:
따름일망정.
어느 주007)
어느:
어찌. 중세국어에서 ‘어느’는 부사, 대명사, 관형사로 쓰임. 여기서는 의문부사.
理 닐오매 다리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 같으면 하나는 어디에
(=서)
나누
(=어지)
며 셋은 어디에
(=서)
모으
(=아지)
겠는가? 모음과 나눔이 사람에게 붙을 따름일망정 어찌 이치가 말함에 〈따라〉 다르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一이 不分三이어니 三이 何애 合一이리오 一三이 在物이언 理無異焉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一이 三애 호디 아니커니 三이 어듸 一에 모리오 주008)
모리오:
모이겠는가? 몯-[合]+()리+오.
一三이 物에 이실 니언 理 다디 아니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하나가 셋에
(=으로)
나누어지지 아니하니 셋이 어디에서 하나로 모이겠는가? 하나와 셋이 사물에 있을 뿐이지 이치는 다르지 아니하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면:같으면. -[如]+면.
주002)
어듸:어디에(서). 어듸[何所]+Ø/예(영형태부사격조사).
주003)
호며:나누며. 나누어지며. 호-[分]+며.
주004)
뫼호리오:모으겠는가. 모아지겠는가. 뫼호-[合]+리+오.
주005)
사게 브틀:사람에게 붙을. 사[人]+게+븥-[附]+을.
주006)
미언:따름일망정.
주007)
어느:어찌. 중세국어에서 ‘어느’는 부사, 대명사, 관형사로 쓰임. 여기서는 의문부사.
주008)
모리오:모이겠는가? 몯-[合]+()리+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