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1권 주해
  • 열녀도 제1권
  • 돈지수상(頓之守喪)
메뉴닫기 메뉴열기

돈지수상(頓之守喪)


1:88ㄱ

頓之守喪

1:88ㄴ

頓之金海府人 庶人金宗妻也 宗死未甞與里人語三年畢猶著喪服 其母欲奪而焚之不聽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돈지 주001)
돈지:
돈지(頓之)는.
김부 사이니 셔인 김종의 안해라 종이 죽거 일즉 주002)
일즉:
일찍. ‘일찍’의 15세기 형태는 ‘일’이다. 그런데 ‘조(早)’의 의미를 갖는 용언은 ‘이르다’였다. “여·러 : 묏 : 고래 ·치움 : 나미 이르·니[衆壑生寒早]〈두시(초) 15 : 17ㄱ〉, 早 이를 조〈훈몽자회 상 : 1ㄴ〉”. 따라서 ‘일’은 ‘이르다’에서 파생된 부사일 가능성이 있다.
 사으로 더브러 주003)
더브러:
더불어. 함께.
말디 아니고 삼 년을 고 오히려 상복글 닙거 그 어미 아아 주004)
아아:
앗[奪]-+-아〉빼앗아.
디고져 주005)
디고져:
지르고자.
호 듣디 아니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돈지수상 - 돈지가 상례를 지키다
돈지(頓之)는 김해부(金海府) 사람이니 서인(庶人) 김종(金宗)의 아내다. 종이 죽거늘 일찍 마을 사람과 더불어 말하지 아니하고, 삼 년을 마치고 오히려 상복(喪服)을 입고 있으므로, 그 어미가 앗아 불 지르고자 하되, 듣지 아니하더라.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돈지:돈지(頓之)는.
주002)
일즉:일찍. ‘일찍’의 15세기 형태는 ‘일’이다. 그런데 ‘조(早)’의 의미를 갖는 용언은 ‘이르다’였다. “여·러 : 묏 : 고래 ·치움 : 나미 이르·니[衆壑生寒早]〈두시(초) 15 : 17ㄱ〉, 早 이를 조〈훈몽자회 상 : 1ㄴ〉”. 따라서 ‘일’은 ‘이르다’에서 파생된 부사일 가능성이 있다.
주003)
더브러:더불어. 함께.
주004)
아아:앗[奪]-+-아〉빼앗아.
주005)
디고져:지르고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