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2권 주해
  • 열녀도 제2권
  • 잉질지자액(芿叱之自縊)
메뉴닫기 메뉴열기

잉질지자액(芿叱之自縊)


2 : 58ㄱ

芿叱之自縊

2 : 58ㄴ

芿叱之寧越郡人 日守林莫山之妻也 夫死謂人曰 吾亦後死穿壙須潤 葬夫日梳沐更衣縊于殯側 恭僖大王朝㫌閭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늣지 주001)
늣지:
늣지[芿叱之]는. 이두식 이름 표기다.
녕월군 사이니 일슈 주002)
일슈:
일수(日守). 조선 시대, 지방(地方) 관아(官衙)에 딸려 심부름하는 하노의 하나.
님막산의 겨집이라 지아비 죽거 사려 닐러 오 내  조차 주글 거시니 주003)
굳:
구덩이. ‘구덩이’가 소급하는 최초의 형태는 19세기의 ‘구덩이’이다. ‘구덩이’는 같은 뜻으로 쓰였던 ‘굳’(예 : 地漿 해 져근 굳 고 믈 브 니기 훙두윤 므리라〈구급방언해상 : 9ㄴ〉)에 ‘작음’을 뜻하는 파생 접사 ‘-엉이’가 붙어 형성된 말이다. 19세기 문헌에는 ‘굳’에 ‘-어기’가 결합한 ‘구덕이’(예 : 구덕이 坑〈한불자전 212〉)가 나타나기도 한다.
기 모로미 주004)
모로미:
모름지기.
너게 주005)
너게:
넓게.
라 고 지아비 묻 날 머리 빗고 목욕고 옷 라 닙고 빙소 주006)
빙소:
빈소(殯所).
겨틔 목 라 주그니라 공희대왕됴애 졍녀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잉질지자액 - 늦지가 스스로 목 졸라 죽다
늣지[芿叱之]는 영월군 사람이니, 일수 임막산(林莫山)의 계집이라. 지아비 죽거늘, 사람에게 일러 가로되, 내 또 쫓아 죽을 것이니, 구덩이 파기를 모름지기 너르게 하라 하고, 지아비 묻는 날, 머리를 빗고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고, 빈소(殯所) 곁에서 목 졸라 죽었다. 공희대왕조에 정려하시었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늣지:늣지[芿叱之]는. 이두식 이름 표기다.
주002)
일슈:일수(日守). 조선 시대, 지방(地方) 관아(官衙)에 딸려 심부름하는 하노의 하나.
주003)
굳:구덩이. ‘구덩이’가 소급하는 최초의 형태는 19세기의 ‘구덩이’이다. ‘구덩이’는 같은 뜻으로 쓰였던 ‘굳’(예 : 地漿 해 져근 굳 고 믈 브 니기 훙두윤 므리라〈구급방언해상 : 9ㄴ〉)에 ‘작음’을 뜻하는 파생 접사 ‘-엉이’가 붙어 형성된 말이다. 19세기 문헌에는 ‘굳’에 ‘-어기’가 결합한 ‘구덕이’(예 : 구덕이 坑〈한불자전 212〉)가 나타나기도 한다.
주004)
모로미:모름지기.
주005)
너게:넓게.
주006)
빙소:빈소(殯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