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2권 주해
  • 열녀도 제2권
  • 순이액사(順伊縊死)
메뉴닫기 메뉴열기

순이액사(順伊縊死)


2 : 13ㄱ

順伊縊死

2 : 13ㄴ

私婢順伊安東府人 性孝順事主及 父母皆盡誠 早喪夫服喪三年 哀毀不止父母欲嫁之 順伊永矢靡他號泣訴情 父母不許乃於 早朝摘苽哭奠于夫墳 自縊而死 恭僖大王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비 슌이 안동부 사이라 한집과 주001)
한집과:
큰집과.
믿 주002)
믿:
및.
부모 셤김을 주003)
다:
다[皆].
졍셩을 다더니 일 그 지아비 일코 몽상 주004)
몽상:
복상(服喪).
삼 년을 닙으되 셜워 샹훼기 주005)
샹훼기:
상훼[傷毁]-+-기-+-〉슬퍼하기를.
그치디 아니더라 부뫼 가호려 주006)
가호려:
가[嫁]-+-오려〉시집가게 하려고.
대 슌이 영영히 주007)
영영히:
영원히. 끝내.
다  아니 가 셰여 브르지져 울고 졍을 오 주008)
졍을 오:
정(情)을 호소하되. 정을 말하되.
부뫼 허티 주009)
허티:
허락하지.
아니대 이예 일 주010)
일:
이른.
아젹에 주011)
아젹에:
아침에.
주012)
외:
외(瓜, 苽, 黃瓜, 胡瓜). ‘오이’와 관련된 이른 시기의 용례는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 나타나는 ‘瓜菜’ 또는 ‘苽菜’인데 이들은 ‘*외’ 정도로 볼 수 있다.
  지아븨 무덤에 가 울며 노코 드듸여 스스로 목 라 주그니라 공희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순이액사 - 순이가 목을 매어 죽다
사비(私婢 ) 순이(順伊)는 안동부(安東府) 사람이다. 주인집 및 부모 섬김을 다 정성을 다 하더니, 일찍 그 지아비를 잃고 복상(服喪) 삼 년을 입되, 서러워 슬퍼하며 아파하기를 그치지 아니하더라. 부모가 시집보내려 했는데, 순이 끝내 다른 데 아니 갈 것을 맹세하여 부르짖어 울고 정을 호소하되, 부모가 허락하지 아니했는데, 이에 이른 아침에 오이를 따서 지아비의 무덤에 가 울며 놓고, 드디어 스스로 목 졸라 죽었다. 공희대왕조에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한집과:큰집과.
주002)
믿:및.
주003)
다:다[皆].
주004)
몽상:복상(服喪).
주005)
샹훼기:상훼[傷毁]-+-기-+-〉슬퍼하기를.
주006)
가호려:가[嫁]-+-오려〉시집가게 하려고.
주007)
영영히:영원히. 끝내.
주008)
졍을 오:정(情)을 호소하되. 정을 말하되.
주009)
허티:허락하지.
주010)
일:이른.
주011)
아젹에:아침에.
주012)
외:외(瓜, 苽, 黃瓜, 胡瓜). ‘오이’와 관련된 이른 시기의 용례는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 나타나는 ‘瓜菜’ 또는 ‘苽菜’인데 이들은 ‘*외’ 정도로 볼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