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2권 주해
  • 열녀도 제2권
  • 유씨지행(柳氏至行)
메뉴닫기 메뉴열기

유씨지행(柳氏至行)


2 : 36ㄱ

柳氏至行

2 : 36ㄴ

柳氏京都人 奉教吳夢樑之妻也 天資淑羨以小學家禮律身 及失所天矢不 獨生上樓墜落不死 冬月極寒浸身凍泉一晝夜 常居廳宇 不蔽風雪 朝夕奉奠 血泣如初 頭蓬不梳髪長則剪之素衣啜粥 十八年而終 恭僖大王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뉴시 셔올 사이니 봉교 주001)
봉교:
봉교(奉敎). 조선 때 예문관(藝文館)의 정7품(正七品) 벼슬.
오몽냥의 주002)
오몽냥의:
오몽량(吳夢樑)의. 오몽량의 자는 중상(仲祥)이며, 본관(本貫)은 보성(寶城)이다. 유학(幼學)을 지나 관직(官職)은 한림(翰林)에 이르렀다.
안해라 하 삼긴 주003)
삼긴:
생긴.
질이 주004)
질이:
자질이. 질[資質]-+-이(주격조사)〉자질이. 형태소 경계에서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났다.
고 아다와 쇼과 가례로 모믈 다리더라 믿 하 삼 바 주005)
믿 하 삼 바:
일허 주006)
일허:
잃어서는.
셰고 혼자 주007)
셰고 혼자:
사디 아니려 야 다락의 올라 러디되 죽디 몯고 겨히 주008)
겨히:
겨울이. 겨울’의 어원에 대한 가설은 대체로 ‘집 안에 있다’는 뜻으로 ‘겨다, 겻다’라는 동사의 어간 ‘겨-’나 ‘겻-’에 접미사 ‘-을’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극히 치온 주009)
치온:
추운.
제 몸을 언 의 므기 주010)
므기:
자물기를. 다물기를. 담그기를.
 듀야 고 샹해 텽집의 주011)
텽집의:
청우(廳宇)에. 마룻집에.
거쳐여 풍셜을 리오디 아니고 됴셕의 뎐믈을 잡소오매 피 나게 울기 처엄티 고 머리 주012)
:
쑥. ‘쑥’은 15~16세기에 ‘’으로 처음 나타나며, 17~19세기에는 ‘, 쑥’을 함께 쓰다가 20세기에 ‘쑥’으로 정착한다.
되 빋디 아니고 터럭기 길거 베티고 주013)
베티고:
버히어 치고. 베어내고.
흰 옫과 쥭 마시기 열여듧 만 주그니라 공희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유씨지행 - 유씨가 절행을 다하다
유씨는 서올 사람이니, 봉교 오몽양(吳夢樑)의 아내다. 하늘로부터 생긴(타고난) 자질이 맑고 아름다워, 소학과 가례로써 몸을 다스리더라. 아울러 하늘이 삼는 바를 잃지 않을 것을 맹세하고, 혼자 살지 아니하려 하여, 다락에 올라 떨어져 죽지 못하고, 겨울의 극히 추울 때 몸을 언 샘에 잠그기를 한 주야를 하고, 늘 마루 집에서 거쳐하여 풍설(風雪)을 가리지 아니하고, 조석에 전물을 올려 피 나게 울기를 처음같이 하고, 머리가 쑥과 같되 빚지 아니하고, 털이 길거든 베어내고, 흰 옷과 죽 마시기를 열여덟 해만에 죽었다. 공희대왕조에 정문하시었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봉교:봉교(奉敎). 조선 때 예문관(藝文館)의 정7품(正七品) 벼슬.
주002)
오몽냥의:오몽량(吳夢樑)의. 오몽량의 자는 중상(仲祥)이며, 본관(本貫)은 보성(寶城)이다. 유학(幼學)을 지나 관직(官職)은 한림(翰林)에 이르렀다.
주003)
삼긴:생긴.
주004)
질이:자질이. 질[資質]-+-이(주격조사)〉자질이. 형태소 경계에서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났다.
주005)
믿 하 삼 바:
주006)
일허:잃어서는.
주007)
셰고 혼자:
주008)
겨히:겨울이. 겨울’의 어원에 대한 가설은 대체로 ‘집 안에 있다’는 뜻으로 ‘겨다, 겻다’라는 동사의 어간 ‘겨-’나 ‘겻-’에 접미사 ‘-을’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주009)
치온:추운.
주010)
므기:자물기를. 다물기를. 담그기를.
주011)
텽집의:청우(廳宇)에. 마룻집에.
주012)
:쑥. ‘쑥’은 15~16세기에 ‘’으로 처음 나타나며, 17~19세기에는 ‘, 쑥’을 함께 쓰다가 20세기에 ‘쑥’으로 정착한다.
주013)
베티고:버히어 치고. 베어내고.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