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1권 주해
  • 열녀도 제1권
  • 홍씨여묘(洪氏蘆墓)
메뉴닫기 메뉴열기

홍씨여묘(洪氏蘆墓)


1:53ㄱ

洪氏蘆墓

1:53ㄴ

洪氏麻田郡人觀察使李伊仁之妻也 尹仁殁廬墓 朝夕親奠 服闋七年如 初甞再遇火不問財產 急奉神主而出俄而廬書燒 凡物鮮味雖微必薦終身 不茹葷菜不着彩服 一鄉嘆服 㫌閭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홍시 마뎐군 주001)
마뎐군:
마전군(麻田郡).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왕징면 일대에 1914년까지 있었던 옛 고을.
사이라 관찰 니윤인의 안해라 주002)
안해라:
아내다. 처(妻)’의 의미를 갖는 단어는 여러 개가 있다. ‘갓, 안해〉아내, 겨집, 마누라’ 등. 우선 15세기에는 ‘갓’이라는 단어가 있었다.
윤인이 죽거 녀묘고 됴셕의 주003)
됴셕의:
조석(朝夕)에. 아침 저녁에.
친히 졔더니 주004)
복:
복(服)을.
고 주005)
고:
[終]-+-고〉마치고.
닐굽  처엄 주006)
처엄:
처음. ‘처음’은 ‘初’의 뜻을 가지는 ‘’에 접미사 ‘-엄’이 결합한 것이다.
티 더라 일즉 두 번 주007)
블:
불[火]을. 화재(火災)를.
만나 산으란 묻디 아니코 주008)
묻디 아니코:
묻지 아니하고. 상관없이.
급히 신쥬 뫼와 나오더니 져근덛 야 주009)
져근덛 야: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지비 다 니라 믈읫 거시 주010)
믈읫 거시:
범물(凡物). 무릇 물건이.
셩코 주011)
셩코:
선(鮮)코. 신선하고.
맛나면 주012)
맛나면:
맛[味]-+#나[出]-+-면〉맛나면.
반시 쳔신고 주013)
쳔신고:
천신(薦身)-+-고〉추천하고.
모미 도록 내 나  주014)
내 나 :
냄새가 나는 나물[不茹葷菜].
아니 먹으며 빗난 옷 아니 니브니 주015)
니브니:
입으니.
일향이 주016)
일향(一鄕)이:
한 마을이. 동네가.
탄복더라 졍녀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홍씨여묘 - 홍씨가 여막을 지키다.
홍씨는 마전군(麻田郡) 사람이라. 관찰사 이윤인(李伊仁)의 아내다. 윤인이 죽으므로 여묘하고 아침저녁에 친히 제사를 하더니, 복제를 마치고 일곱 해를 처음과 같이 하더라. 일찍 두 번 화재(火災)를 만나 재산은 묻지 아니하고, 급히 신주를 모셔 나오더니,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집이 다 탔더라. 무릇 것이 신선하고 맛나면, 반드시 천신(薦身)하고, 몸이 다하도록 냄새가 나는 나물을 아니 먹으며, 빛난 옷을 아니 입으니, 한 마을이 탄복하더라. 정려하시었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마뎐군:마전군(麻田郡).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왕징면 일대에 1914년까지 있었던 옛 고을.
주002)
안해라:아내다. 처(妻)’의 의미를 갖는 단어는 여러 개가 있다. ‘갓, 안해〉아내, 겨집, 마누라’ 등. 우선 15세기에는 ‘갓’이라는 단어가 있었다.
주003)
됴셕의:조석(朝夕)에. 아침 저녁에.
주004)
복:복(服)을.
주005)
고:[終]-+-고〉마치고.
주006)
처엄:처음. ‘처음’은 ‘初’의 뜻을 가지는 ‘’에 접미사 ‘-엄’이 결합한 것이다.
주007)
블:불[火]을. 화재(火災)를.
주008)
묻디 아니코:묻지 아니하고. 상관없이.
주009)
져근덛 야: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주010)
믈읫 거시:범물(凡物). 무릇 물건이.
주011)
셩코:선(鮮)코. 신선하고.
주012)
맛나면:맛[味]-+#나[出]-+-면〉맛나면.
주013)
쳔신고:천신(薦身)-+-고〉추천하고.
주014)
내 나 :냄새가 나는 나물[不茹葷菜].
주015)
니브니:입으니.
주016)
일향(一鄕)이:한 마을이. 동네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