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3권 주해
  • 열녀도 제3권
  • 노씨견살(盧氏見殺)
메뉴닫기 메뉴열기

노씨견살(盧氏見殺)


3 : 3ㄱ

盧氏見殺

3 : 3ㄴ

貞敬夫人盧氏京都人 府使盧景麟 주001)
노경린(盧景麟):
중종 1(1516)~선조 1(156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자는 인보(仁甫), 호는 사인당(四印堂). 1
之女贊成李珥妻也 素有婦德壬辰倭亂避賊于坡州山中 隱於贊成 주002)
찬성(贊成):
조선시대 의정부의 차관급인 종1품 관직.
墓側 以死自誓 賊至將逼之 盧氏罵賊不從 賊殺之 昭敬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뎡경부인 노시 주003)
뎡경부인 노시:
정경부인 노씨는.
셔울 사이니 부 주004)
부:
부사(府使). 고려·조선시대 지방장관직. 조선시대는 정3품의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와 종3품의 도호부사(都護府使)를 가리키는 칭호였다.
노경닌의 리오 찬셩 니이의 안해라 본 녀편네 주005)
녀편네:
여편네’는 16세기 문헌에 ‘녀편네’로 나온다. ‘녀편네’는 ‘녀편’과 ‘-네’로 분석되는데, ‘녀편’은 한자어 ‘女便’이고 ‘-네’는 접미사이다. ‘女便’은 한자 뜻 그대로 ‘여자 편’ 즉 ‘여자’를 가리킨다. 15세기에서 ‘여자’라는 의미로 쓰인 ‘녀편’의 예가 확인된다.
덕이 읻더니 임진왜난의 도적을 파 묏 가온 가 피 찬셩 무덤 겯 주006)
겯:
곁에. 혼철표기(거듭적기)가 나타난 어휘이다.
가 숨어셔 죽기로 스스로 셰더니 도적이 니러 주007)
니러:
이르러, 도착하여[至].
쟝 핍박려 거 노시 도적을 짓고 졷디 주008)
졷디:
쫓지.
아니대 도적기 주기니라 쇼경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노씨견살 - 노씨가 도적에게 살해되다
정경부인 노씨는 서울 사람이니, 부사 노경린(盧景麟)의 딸이오. 찬성 이이(李珥)의 아내다. 본대 여편네 덕(德)이 있더니, 임진왜란에 도적을 파주의 산 가운데 가 피하므로 찬성의 무덤 곁에 가 숨어서 죽기로 스스로 맹세했더니, 도적이 이르러 장차 핍박하려 하거늘, 노씨 도적을 꾸짖고 쫓지 아니했는데, 도적이 죽이었다. 소경대왕(昭敬大王) 때에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노경린(盧景麟):중종 1(1516)~선조 1(156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자는 인보(仁甫), 호는 사인당(四印堂). 1
주002)
찬성(贊成):조선시대 의정부의 차관급인 종1품 관직.
주003)
뎡경부인 노시:정경부인 노씨는.
주004)
부:부사(府使). 고려·조선시대 지방장관직. 조선시대는 정3품의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와 종3품의 도호부사(都護府使)를 가리키는 칭호였다.
주005)
녀편네:여편네’는 16세기 문헌에 ‘녀편네’로 나온다. ‘녀편네’는 ‘녀편’과 ‘-네’로 분석되는데, ‘녀편’은 한자어 ‘女便’이고 ‘-네’는 접미사이다. ‘女便’은 한자 뜻 그대로 ‘여자 편’ 즉 ‘여자’를 가리킨다. 15세기에서 ‘여자’라는 의미로 쓰인 ‘녀편’의 예가 확인된다.
주006)
겯:곁에. 혼철표기(거듭적기)가 나타난 어휘이다.
주007)
니러:이르러, 도착하여[至].
주008)
졷디:쫓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