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3권 주해
  • 열녀도 제3권
  • 향복단발(香福斷髮)
메뉴닫기 메뉴열기

향복단발(香福斷髮)


3 : 27ㄱ

香福斷髮

3 : 27ㄴ

良女香福京都人 領議政尚震之妾也 震卒哀毀過禮 斷髮守節設生時衣冠杖履 朝夕親奠終身啜粥居廬 昭敬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냥녀 향복 주001)
냥녀 향복:
양민 집의 여자인 향복(香福)은.
은 셔울 사이니 녕의졍 주002)
녕의졍:
영의정(領議政).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최고관직. 정원은 1인이다. 흔히 영상(領相)으로 불렸으며, 상상(上相)·수규(首揆)·원보(元輔)라고도 하였다.
샹진 주003)
샹진:
상진(尚震). 성종 2(1493)~명종 1(1564). 조선 중기의 문신.
쳡이라 주004)
쳡이라:
소실(小室)이라고도 한다.
지아븨 상의 슬허 샹훼기 주005)
지아븨 상의 슬허 샹훼기:
지아비의 상사에 슬퍼 훼상(毁傷)하기를. ‘샹훼’는 ‘훼상(毁傷)’과 같은 뜻으로, ‘몸에 상처를 냄’이라는 뜻이다.
녜예 넘게 고 주006)
녜예 넘게 고:
예법에 어긋남이 없게 하고.
머리터럭글 근처 슈졀야 주007)
머리터럭글 근처 슈졀야:
머리터럭을 끊어 수절하여.
지아븨 주008)
지아븨:
지아비의.
시 옫과 관과 막대와 신을 베프고 주009)
시 옫과 관과 막대와 신을 베프고:
생시 때의 옷과 관대와 막대와 신을 벌여두고. ‘베플다’는 ‘일을 차리어 벌이다’의 뜻이다.
됴셕의 주010)
됴셕의:
아침저녁으로.
히 졔고 주011)
히 졔고:
친히 제사지내고.
신토록 쥭 먹고 주012)
신토록 쥭 먹고:
죽을 때가지 죽만 먹고.
녀막사리 다 주013)
녀막사리다:
여막살이를 하였다. ‘여막살이’는 무덤가에 지은 초가인 여막(廬幕)에서 상제(喪制)가 상이 끝날 때까지 거처(居處)하며 지내는 것이다.
쇼경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향복단발 - 향복이 머리를 잘라 수절하다
양녀 향복(香福)은 서울 사람이니, 영의정 상진(尚震)의 첩이라. 지아비 상사에 슬퍼 훼상(毁傷)하기를, 예에 넘게 하고 머리카락을 끊어 수절하여, 지아비 생시 때의 옷과 관대와 막대와 신을 베풀어두고, 아침저녁에 친히 제사지내고, 종신토록 죽만 먹고 여막사리를 하였다. 소경대왕(昭敬大王) 때에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냥녀 향복:양민 집의 여자인 향복(香福)은.
주002)
녕의졍:영의정(領議政).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최고관직. 정원은 1인이다. 흔히 영상(領相)으로 불렸으며, 상상(上相)·수규(首揆)·원보(元輔)라고도 하였다.
주003)
샹진:상진(尚震). 성종 2(1493)~명종 1(1564). 조선 중기의 문신.
주004)
쳡이라:소실(小室)이라고도 한다.
주005)
지아븨 상의 슬허 샹훼기:지아비의 상사에 슬퍼 훼상(毁傷)하기를. ‘샹훼’는 ‘훼상(毁傷)’과 같은 뜻으로, ‘몸에 상처를 냄’이라는 뜻이다.
주006)
녜예 넘게 고:예법에 어긋남이 없게 하고.
주007)
머리터럭글 근처 슈졀야:머리터럭을 끊어 수절하여.
주008)
지아븨:지아비의.
주009)
시 옫과 관과 막대와 신을 베프고:생시 때의 옷과 관대와 막대와 신을 벌여두고. ‘베플다’는 ‘일을 차리어 벌이다’의 뜻이다.
주010)
됴셕의:아침저녁으로.
주011)
히 졔고:친히 제사지내고.
주012)
신토록 쥭 먹고:죽을 때가지 죽만 먹고.
주013)
녀막사리다:여막살이를 하였다. ‘여막살이’는 무덤가에 지은 초가인 여막(廬幕)에서 상제(喪制)가 상이 끝날 때까지 거처(居處)하며 지내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