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2권 주해
  • 열녀도 제2권
  • 이씨절행(李氏節行)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씨절행(李氏節行)


2 : 43ㄱ

李氏節行

2 : 43ㄴ

李氏咸安郡人 孝子李郊之女 姜沄之妻也 沄死哀毀過制 喪葬盡禮 三年不脫衰絰 免服猶素衣不梳洗不飲酒食肉 不茹葷以終其身 恭僖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니시 함안군 사이니 효 니교의 주001)
니교의:
이교(李郊)의. 이교는 인조(仁祖) 19년 신사년 정시(庭試) 병과에 급제하였다. 그의 딸 이씨는 통덕랑 강운(姜沄)의 처인 인천이씨의 열행을 기린 비각이 아직 남아 있다.
이오 션븨 강운의 주002)
강운의:
강운(姜沄)의.
안해라 운이 죽거 셜워 샹훼믈 주003)
샹훼믈:
상훼(傷毁)함을. 마음이 상하고 다침을.
법졔예 주004)
법졔예:
상례 법제에.
넘게 고 주005)
넘게 고:
넘도록 하고.
상와 장 녜 다고 삼 년을 최딜을 주006)
최딜을:
상복(喪服)을.
벋디 아니더니 주007)
벋디 아니더니:
벗지 아니하거늘.
거상 벋고 오히려 흰 오스로 머리 빋고 싣디 주008)
싣디:
씻[洗]-+-디〉씻지. ‘씻다’는 15세기에 ‘싯다, 다’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16세기에는 ‘싯다’로, 17세기에는 ‘싯다, 다, 씻다’로, 19세기에는 ‘다, 씻다, 씻ㅅ다’로, 20세기에는 ‘씻다, 씻ㅅ다’로 나타나다가 ‘씻다’로 정착한다.
아니코 술을 마시며 고기 먹디 아니고 내옴 주009)
내옴:
국어사 자료에서 ‘냄새’가 소급하는 최초의 형태는 19세기의 ‘내음’이다.
나 걷 아니 머거  그 모 주그니라 공희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이씨절행 - 이씨가 수절하다
이씨는 함안군(咸安郡) 사람이니, 효자 이교(李郊)의 딸이요, 선비 강운(姜沄)의 아내다. 강운이 죽거늘, 서러워 상훼(傷毁)함을 법제에 넘게 하고, 상사(喪事)와 장사(葬事)를 예를 다하고, 삼 년 동안 상복을 벗지 아니하더니, 거상 벗고도 오히려 흰 옷(상복)을 〈입고〉 머리를 빗고 씻지 아니하고, 술을 마시며 고기 먹지 아니하고, 냄새 나는 냄새 나는 것을 아니 먹어서 그 몸을 〈말려서〉 죽었다. 공희대왕조에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교의:이교(李郊)의. 이교는 인조(仁祖) 19년 신사년 정시(庭試) 병과에 급제하였다. 그의 딸 이씨는 통덕랑 강운(姜沄)의 처인 인천이씨의 열행을 기린 비각이 아직 남아 있다.
주002)
강운의:강운(姜沄)의.
주003)
샹훼믈:상훼(傷毁)함을. 마음이 상하고 다침을.
주004)
법졔예:상례 법제에.
주005)
넘게 고:넘도록 하고.
주006)
최딜을:상복(喪服)을.
주007)
벋디 아니더니:벗지 아니하거늘.
주008)
싣디:씻[洗]-+-디〉씻지. ‘씻다’는 15세기에 ‘싯다, 다’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16세기에는 ‘싯다’로, 17세기에는 ‘싯다, 다, 씻다’로, 19세기에는 ‘다, 씻다, 씻ㅅ다’로, 20세기에는 ‘씻다, 씻ㅅ다’로 나타나다가 ‘씻다’로 정착한다.
주009)
내옴:국어사 자료에서 ‘냄새’가 소급하는 최초의 형태는 19세기의 ‘내음’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