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3권 주해
  • 열녀도 제3권
  • 사덕불오(四德不汚)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덕불오(四德不汚)


3 : 26ㄱ

四德不汚

3 : 26ㄴ

良女四德昌平縣人 正兵鄭文傑妻也 夫適出于外 其妹夫金末叱金秉夜突入欲犯之 四德固拒不從末叱金以木貫喉以斧斬頸 昭敬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냥녀 덕은 주001)
냥녀 덕은:
양민 집의 딸인 사덕(四德)은.
챵평현 주002)
챵평현:
창평현(昌平縣). 전남 담양군 창평면을 중심으로 있었던 고려시대의 행정구역.
사이니 졍병 주003)
졍병:
정병(正兵). 조선시대 군사 제도의 기간을 이루었던 일반 양인 농민 출신의 병종(兵種).
뎡문걸의 쳬라 주004)
뎡문걸의 쳬라:
정문걸(鄭文傑)의 아내다.
지아비 주005)
지아비:
지아비가.
마초아 받긔 나 니거 주006)
마초아 받긔 나 니거:
마침 밖에 나가 다니거늘. 여기서 ‘마초아’는 ‘마침’, ‘맞추어’의 뜻이다. ‘받긔’는 ‘받ㄱ(밧ㄱ, 外)+의(처소부사격조사)’. ‘니거늘’은 ‘니[行]+거늘’로 각각 분석된다.
그 누의 남진 귿쇠 주007)
그 누의 남진 귿쇠:
그 누이의 남편 끝쇠가. 끝쇠[末叱金]는 이두식 이름 표기이다.
밤을 타셔 라드러 범코져 거 주008)
라드러 범코져 거:
달려들어 (그 처를) 범하고자 하거늘.
덕기 주009)
덕기:
사덕이.
구디 버으리와다 주010)
구디 버으리와다:
굳게 반항하여. ‘버으리와다’는 ‘거부하다’, ‘항거하다’, ‘반항하다’의 뜻이다. ‘버으리왇다’, ‘버으리왓다’, 벙으리왇다‘, 벙으리왓다’ 등으로 쓰이고 있다.
졷디 아니니 주011)
졷디 아니니:
따르지 아니하니.
귿쇠 주012)
귿쇠:
끝쇠가.
남그로 목글 고 주013)
남그로 목글 고:
나무로써 목을 꿰고.
도로 모글 버히니라 주014)
도로 모글 버히니라:
도끼로써 목을 베니라.
쇼경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사덕불오 - 사덕이 몸을 더럽히지 아니하다
양녀 사덕(四德)은 창평현(昌平縣) 사람이니, 정병 정문걸(鄭文傑)의 아내다. 지아비 맞추어 밖에 나가 다니거늘, 그 누이 남편(매부) 끝쇠[末叱金]가 밤을 타서 달려들어 범하고자 하거늘, 사덕이 굳게 저항하여 좇지 아니하니, 끝쇠가 나무로써 목을 꿰고 도끼로써 목을 베었다. 소경대왕조에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냥녀 덕은:양민 집의 딸인 사덕(四德)은.
주002)
챵평현:창평현(昌平縣). 전남 담양군 창평면을 중심으로 있었던 고려시대의 행정구역.
주003)
졍병:정병(正兵). 조선시대 군사 제도의 기간을 이루었던 일반 양인 농민 출신의 병종(兵種).
주004)
뎡문걸의 쳬라:정문걸(鄭文傑)의 아내다.
주005)
지아비:지아비가.
주006)
마초아 받긔 나 니거:마침 밖에 나가 다니거늘. 여기서 ‘마초아’는 ‘마침’, ‘맞추어’의 뜻이다. ‘받긔’는 ‘받ㄱ(밧ㄱ, 外)+의(처소부사격조사)’. ‘니거늘’은 ‘니[行]+거늘’로 각각 분석된다.
주007)
그 누의 남진 귿쇠:그 누이의 남편 끝쇠가. 끝쇠[末叱金]는 이두식 이름 표기이다.
주008)
라드러 범코져 거:달려들어 (그 처를) 범하고자 하거늘.
주009)
덕기:사덕이.
주010)
구디 버으리와다:굳게 반항하여. ‘버으리와다’는 ‘거부하다’, ‘항거하다’, ‘반항하다’의 뜻이다. ‘버으리왇다’, ‘버으리왓다’, 벙으리왇다‘, 벙으리왓다’ 등으로 쓰이고 있다.
주011)
졷디 아니니:따르지 아니하니.
주012)
귿쇠:끝쇠가.
주013)
남그로 목글 고:나무로써 목을 꿰고.
주014)
도로 모글 버히니라:도끼로써 목을 베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