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4집(열녀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4권 주해
  • 열녀도 제4권
  • 이씨단발(李氏斷髮)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씨단발(李氏斷髮)


4 : 3ㄱ

李氏斷髮

4 : 3ㄴ

李氏潭陽府人 生貟李蘅妻也 性至孝事姑誠敬 夫殁斷髮 歠粥三年 不出房外 服闋猶執喪祡毀 將死家人勸肉汁 李氏曰 我今死矣 肉何補焉 仍不起 今上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니시 담양부 주001)
담양부:
담양부(潭陽府). 지금의 전남 담양읍, 봉산면, 무정면, 대덕면, 금성면, 용면, 월산면 지역에 해당하며, 호남정맥의 서쪽 사면에 위치해 있고 위로는 순창, 아래로는 창평에 이어진다.
사이니 원 주002)
원:
생원(生貟). 조선시대에 소과의 하나인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 이들에게는 진사와 더불어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었다.
니형의 안해라 주003)
니형의 안해라:
이형(李蘅)의 아내다. 이형(李蘅)은 조선 시대의 효자로 부모님의 병환이 위중할 때 정성을 다해 간호하였으며, 상을 당하자 여묘에서 제를 마쳤다.
셩이 지극이 효도로아 주004)
셩이 지극이 효도로아: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싀어미 셤기믈 주005)
싀어미 셤기믈:
시어미 섬김을. ‘시어미’에 대응하는 15세기 어형은 ‘싀어미’이다. 형태적으로는 ‘싀어미〉시어미’의 변화 과정을 겪은 것이다.
셩경으로 더니 주006)
셩경으로 더니:
정성과 공경(誠敬)으로 하더니.
지아비 죽거 주007)
지아비 죽거:
지아비가 죽거늘.
머리털 버히고 주008)
머리털 버히고:
머리카락을 베고.
쥭글 삼 년을 마시고 주009)
쥭글 삼 년을 마시고:
죽(粥)을 삼 년 동안 마시고. ‘쥭글’은 ‘죽을’의 중철표기이다.
방 받긔 나디 아니고 주010)
방 받긔 나디 아니고:
방 밖에 나가지 아니하고. ‘(外)+의’로 분석된다. ‘밖’의 옛 말은 ‘’이었다.
복을 차도 주011)
복을 차도:
상복 입기를 마쳐도.
오히려 거상을 자바 주012)
거상을 자바:
집상(執喪)하여. ‘집상’은 어버이 상사(喪事)에 있어 예절(禮節)을 지킴. 또는 예절(禮節)에 따라 상제(喪制) 노릇을 함이다.
싀훼여 주013)
싀훼여:
시훼(柴毀)하여. ‘상(喪)을 당하여 슬퍼하여 몸이 바짝 마르고 여위어.
쟝 죽게 되거 집사이 주014)
집사이:
가인(家人). 한 집안 사람이.
육즙을 권니 주015)
육즙을 권니:
고기 즙액을 권하니.
니시 오되 주016)
니시 오되:
이씨가 말하기를.
내 이제 주글 거시니 고기 므어슬 보태리오 주017)
고기 므어슬 보태리오:
고기 먹어 무슨 보탬이 있겠는가. 고기 먹어 무슨 소용 있겠는가.
인여 니디 못다 주018)
인여 니디 못다:
인하여 일어나지 못하다. ‘닐[起]+디’로 분석된다. ‘닐다’는 ‘일어나다[起]’의 뜻이다.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이씨단발 - 이씨가 머리를 자르다
이씨는 담양부 사람이니, 생원 이형(李蘅)의 아내다. 성품이 지극히 효도로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섬김을 정성과 공경(誠敬)으로 하더니, 지아비 죽거늘 머리털 베고 죽을 삼 년을 마시고, 방 밖에 나가지 아니하고, 상복을 마쳐도 오히려 집상(執喪)하여 시훼(祡毀)하여 장차 죽게 되거늘, 집사람이 육즙을 권하니,이씨 가로되 내 이제 죽을 것이니 고기 (먹어) 무엇을 보텔 것이오. 인하여 일어나지 못했다. 지금 조정에서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담양부:담양부(潭陽府). 지금의 전남 담양읍, 봉산면, 무정면, 대덕면, 금성면, 용면, 월산면 지역에 해당하며, 호남정맥의 서쪽 사면에 위치해 있고 위로는 순창, 아래로는 창평에 이어진다.
주002)
원:생원(生貟). 조선시대에 소과의 하나인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 이들에게는 진사와 더불어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었다.
주003)
니형의 안해라:이형(李蘅)의 아내다. 이형(李蘅)은 조선 시대의 효자로 부모님의 병환이 위중할 때 정성을 다해 간호하였으며, 상을 당하자 여묘에서 제를 마쳤다.
주004)
셩이 지극이 효도로아: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주005)
싀어미 셤기믈:시어미 섬김을. ‘시어미’에 대응하는 15세기 어형은 ‘싀어미’이다. 형태적으로는 ‘싀어미〉시어미’의 변화 과정을 겪은 것이다.
주006)
셩경으로 더니:정성과 공경(誠敬)으로 하더니.
주007)
지아비 죽거:지아비가 죽거늘.
주008)
머리털 버히고:머리카락을 베고.
주009)
쥭글 삼 년을 마시고:죽(粥)을 삼 년 동안 마시고. ‘쥭글’은 ‘죽을’의 중철표기이다.
주010)
방 받긔 나디 아니고:방 밖에 나가지 아니하고. ‘(外)+의’로 분석된다. ‘밖’의 옛 말은 ‘’이었다.
주011)
복을 차도:상복 입기를 마쳐도.
주012)
거상을 자바:집상(執喪)하여. ‘집상’은 어버이 상사(喪事)에 있어 예절(禮節)을 지킴. 또는 예절(禮節)에 따라 상제(喪制) 노릇을 함이다.
주013)
싀훼여:시훼(柴毀)하여. ‘상(喪)을 당하여 슬퍼하여 몸이 바짝 마르고 여위어.
주014)
집사이:가인(家人). 한 집안 사람이.
주015)
육즙을 권니:고기 즙액을 권하니.
주016)
니시 오되:이씨가 말하기를.
주017)
고기 므어슬 보태리오:고기 먹어 무슨 보탬이 있겠는가. 고기 먹어 무슨 소용 있겠는가.
주018)
인여 니디 못다:인하여 일어나지 못하다. ‘닐[起]+디’로 분석된다. ‘닐다’는 ‘일어나다[起]’의 뜻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