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7권 주해
  • 효자도 제7권
  • 응익폐부(應翼蔽父)
메뉴닫기 메뉴열기

응익폐부(應翼蔽父)


7 : 3ㄱ

應翼蔽父

7 : 3ㄴ

學生高應翼橫城縣人忠臣高世㞳之子也壬辰倭亂父領兵討竹山賊賊掩其後將被害應翼奮臂 直前以身翼蔽賊並刃之 今上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 고응익은 횡셩현 사이니 튱신 고셰두의 아이라 임진왜난의 아비 군 거리고 듁산 도적글 티더니 도적기 그 뒤흘 셔 쟝 해 닙게 되거 응익기 흘 불로 야 주001)
흘 불로야:
팔을 휘두르며. 분비(奮臂)하여. ‘흘’의 ‘-흘’은 목적격 조사 ‘-을’에 ㅎ종성체언의 곡용형 ‘-’이 통합된 형이다. 곡용이란 체언에 조사가 통합될 때, 일어나는 형태소의 변화를 이른다. 15세기에 쓰이던 중세국어 가운데 체언과 조사가 통합될 때, 언어적인 조건 없이 ㅎ이나 ㄱ이 덧붙는 낱말들을 말한다. ‘불로야’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분노(憤怒)하여’ 또는 ‘분격(奮激)하여’로 볼 수 있다.
바 아 가 모로 리오니 도적이 다 로 주기다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응익폐부 - 고응익이 아버지를 숨기다
학생 고응익은 횡성현 사람이다. 충신 고세두의 아들이다. 임진왜란에 아버지가 군사를 거느리고 죽산의 왜적을 쳤는데, 왜적이 그의 뒤를 포위하여 이제 죽이려 하거늘 응익이 팔을 휘두르며 바로 앞으로 가서 아버지를 몸으로써 가리니, 왜적이 모두 칼날로 죽였다. 금상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흘 불로야:팔을 휘두르며. 분비(奮臂)하여. ‘흘’의 ‘-흘’은 목적격 조사 ‘-을’에 ㅎ종성체언의 곡용형 ‘-’이 통합된 형이다. 곡용이란 체언에 조사가 통합될 때, 일어나는 형태소의 변화를 이른다. 15세기에 쓰이던 중세국어 가운데 체언과 조사가 통합될 때, 언어적인 조건 없이 ㅎ이나 ㄱ이 덧붙는 낱말들을 말한다. ‘불로야’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분노(憤怒)하여’ 또는 ‘분격(奮激)하여’로 볼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