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7권 주해
  • 효자도 제7권
  • 원우수묘(元祐守墓)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우수묘(元祐守墓)


7 : 16ㄱ

元祐守墓

7 : 16ㄴ

幼學崔元祐慶州人 年甫三歲父母俱歿至弱冠追服斬衰守墓三年朝夕上塚啜粥三年哭泣之哀一如初喪 今上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유 최원우 경 사이니 나히 계우 세 설인 제 부뫼 다 주것더니 스믈헤 니러 상복을 미조차 니버 주001)
상복을 미조차 니버:
상복을 뒤이어 입어. ‘미조차’의 기본형은 ‘미좇다’인데, 부사형 어미 ‘-아’가 통합되고 연철이 된 형이다. 연철은 훈민정음 때의 기본적인 소리적기인데 한글맞춤법의 기본이 되었다. 현재로는 사어가 되었다. ¶화살 고 미조차 가[帶着弓箭跟着行]〈노걸대 상 : 26〉. ‘니버’의 기본형은 ‘닙다’인데, 두음법칙을 거치면서 ‘닙다〉입다’로 소리가 쉬어진 소리로 바뀐 것이다. 곧 구개음화된 니은소리를 회피한 것이다. 두음법칙은 단어 첫머리에서 발음하기 까다로운 자음을 발음하기 쉽게 고치는 음운규칙이다. 국어의 단어 첫머리에는 두 개 이상의 자음군이 올 수 없고 ㅇ·ㄹ도 올 수 없으며 ‘이’나 ‘이-’로 시작되는 이중모음 앞에 ㄴ도 올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자음이나 자음군이 단어 첫머리에 놓이면 이들을 발음하기 쉽게 바꾸게 된다. 그 전제는 이러하다. (1)그 자음을 떨어뜨린다. (2)그 자음을 다른 자음으로 바꾼다. (3)그 자음의 앞이나 뒤에 모음을 끼워 넣는다.
분묘 디킈기를 세  야 아 나죄 분묘애 올라가고 쥭만 먹기를 삼년을 야 울기 슬허홈을 처엄 상티 더라 금샹됴애 정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원우수묘 - 최원우가 부모 무덤을 지키다
유학 최원우는 경주 사람이다. 나이 겨우 세 살인 적에 부모가 다 돌아갔다. 스무 살이 되어 상복을 뒤늦게 입고 무덤 지키기를 세 해를 하며 아침과 저녁으로 무덤에 올라가고, 죽만 먹기를 삼 년 동안 하며 슬피 울기를 초상 때처럼 하였다. 금상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상복을 미조차 니버:상복을 뒤이어 입어. ‘미조차’의 기본형은 ‘미좇다’인데, 부사형 어미 ‘-아’가 통합되고 연철이 된 형이다. 연철은 훈민정음 때의 기본적인 소리적기인데 한글맞춤법의 기본이 되었다. 현재로는 사어가 되었다. ¶화살 고 미조차 가[帶着弓箭跟着行]〈노걸대 상 : 26〉. ‘니버’의 기본형은 ‘닙다’인데, 두음법칙을 거치면서 ‘닙다〉입다’로 소리가 쉬어진 소리로 바뀐 것이다. 곧 구개음화된 니은소리를 회피한 것이다. 두음법칙은 단어 첫머리에서 발음하기 까다로운 자음을 발음하기 쉽게 고치는 음운규칙이다. 국어의 단어 첫머리에는 두 개 이상의 자음군이 올 수 없고 ㅇ·ㄹ도 올 수 없으며 ‘이’나 ‘이-’로 시작되는 이중모음 앞에 ㄴ도 올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자음이나 자음군이 단어 첫머리에 놓이면 이들을 발음하기 쉽게 바꾸게 된다. 그 전제는 이러하다. (1)그 자음을 떨어뜨린다. (2)그 자음을 다른 자음으로 바꾼다. (3)그 자음의 앞이나 뒤에 모음을 끼워 넣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