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7권 주해
  • 효자도 제7권
  • 팽년거려(彭年居廬)
메뉴닫기 메뉴열기

팽년거려(彭年居廬)


7 : 13ㄱ

彭年居廬

7 : 13ㄴ

幼學崔彭年牛峯縣人 母喪啜粥居廬父病嘗糞及歿啜粥三年 仁聖 懿仁喪皆心喪三年時年七十 今上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유 최년은 우봉현 사이라 어믜 상애 쥭 마시며 녀막살이고 아비 병들거 을 맛보며 믿 주그매 쥭 마시기 삼년 고 인셩 의인 상애 주001)
인셩 의인 상애:
인성왕후와 의인왕후 국상에.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인셩〉인성’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상애’의 ‘-애’는 부사격 조사로 모음조화를 따라서 양성모음 계의 조사가 통합된 것이다. 인성왕후는 조선 인종의 왕비였다. 왕후의 시호는 효순 공의 인성왕후(孝順 恭懿 仁聖王后)이다. 본관은 반남, 금성부원군 박용의 딸이다. 중종 19년(1524) 세자빈에 책봉되고, 인종 즉위년(1544) 세자였던 인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다. 다음 해 인종 1년(1545)에 인종이 돌아가고 인종의 이복 아우인 명종이 즉위하면서 왕대비로 올라갔으며, 2년 뒤인 명종 2년(1547) 공의(恭懿)의 존호를 받아 왕대비로 승차하였다. 의인왕후는 조선 제14대 임금이던 선조의 정비다. 본관은 반남(潘南). 성은 박씨. 오위도총부의 도총관과 영돈녕부사 등을 거쳐 죽은 뒤 영의정이 된 반성부원군 박응순(朴應順)의 딸이다. 돌아간 뒤 그의 시호는 장성휘열정헌경목의인왕후(章聖徽烈貞憲敬穆懿仁王后)이다.
다 심상 삼년을 니 시년이 닐흔이러라 주002)
시년이 닐흔이러라:
그때 나이가 일흔이었다. ‘시년(時年)’은 ‘그때 나이’이다. ‘닐흔’은 ‘일흔, 70세’이다.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팽년거려 - 최팽년이 여막에서 살다
유학 최팽년은 우봉현 사람이다. 어머니의 상례에 죽을 마시고 시묘하고, 아버지가 병이 나니 똥을 맛보았다. 곧 돌아가매 죽 마시기를 삼 년 하고, 인성 의인 상에 다 심상 삼년을 하니, 이 때 나이가 일흔이었다. 금상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인셩 의인 상애:인성왕후와 의인왕후 국상에.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인셩〉인성’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상애’의 ‘-애’는 부사격 조사로 모음조화를 따라서 양성모음 계의 조사가 통합된 것이다. 인성왕후는 조선 인종의 왕비였다. 왕후의 시호는 효순 공의 인성왕후(孝順 恭懿 仁聖王后)이다. 본관은 반남, 금성부원군 박용의 딸이다. 중종 19년(1524) 세자빈에 책봉되고, 인종 즉위년(1544) 세자였던 인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다. 다음 해 인종 1년(1545)에 인종이 돌아가고 인종의 이복 아우인 명종이 즉위하면서 왕대비로 올라갔으며, 2년 뒤인 명종 2년(1547) 공의(恭懿)의 존호를 받아 왕대비로 승차하였다. 의인왕후는 조선 제14대 임금이던 선조의 정비다. 본관은 반남(潘南). 성은 박씨. 오위도총부의 도총관과 영돈녕부사 등을 거쳐 죽은 뒤 영의정이 된 반성부원군 박응순(朴應順)의 딸이다. 돌아간 뒤 그의 시호는 장성휘열정헌경목의인왕후(章聖徽烈貞憲敬穆懿仁王后)이다.
주002)
시년이 닐흔이러라:그때 나이가 일흔이었다. ‘시년(時年)’은 ‘그때 나이’이다. ‘닐흔’은 ‘일흔, 70세’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