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6권 주해
  • 효자도 제6권
  • 종후거의(從厚擧義)
메뉴닫기 메뉴열기

종후거의(從厚擧義)


6 : 37ㄱ

從厚擧義

6 : 37ㄴ

佐郞高從厚光州人忠臣高敬命之子痛其父死於倭賊擧義復讎轉鬪嶺外竟死於晉州城中天朝參軍呂應鍾 주001)
여응종(呂應鍾):
중국 명나라의 장수로서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의 2차 지원병을 이끌고 참전하였던 이여송(李如松)의 참모다.
朝鮮記父爲國死於忠子爲父死於孝士爲將死於義一戰而忠臣孝子烈士俱云士卽安瑛柳彭老也 今上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좌랑 고죵후 광 사이니 튱신 고경명의 아리라 그 아비 왜적의 주근 줄 셜워 의 드러 주002)
의 드러:
의(義)를 들어. 의병을 일으켰다는 말이다.
원슈 가포려 두로 사화 녕밧긔 주003)
녕밧긔:
재 너머. 영외(嶺外). 전라도에서 지리산 줄기 하동의 재를 넘어 경남 진주성까지 갔다는 말이다. 고종후는 진주성을 지키다가 남강에 투신 순절하였다.
가 내 진셩 가온셔 주그니 텬됴 참군 녀응죵의 됴션긔예 호 아비 나라 위여 튱셩의 죽고 식은 아비 위여 효도의 죽고 군 쟝슈 위여 의예 죽그니 번 사호매 튱신과 효과 녈잣 다 닐러시니 주004)
효과 녈잣 다 닐러시니:
효자와 열사까지 다 적었더라. 여기 ‘잣’은 ‘까지’라는 뜻인데, 어원은 ‘가()’를 이른다.
 안영이과 뉴뇌라 금샹됴의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종후거의 - 고종후가 의병을 일으키다
좌랑 고종후는 광주(光州) 사람으로 충신 고경명의 아들이다. 그 아비가 왜적에게 죽은 것을 서러워하여 의병을 일으켜 원수 갚으려 두루 싸워 영밖에 넘어가 마침내 진주성 가운데서 전사하였다. 명나라의 참군 여응종이 조선기(朝鮮記)에 기록하기를, 아비는 나라를 위하여 충성에 죽고, 자식은 아비를 위하여 효도에 죽고, 군사는 장수를 위하여 의에 죽으니, 한번 싸우매 충신과 효자와 열사까지 다 기록하였더라. 열사는 즉 안영이와 유팽로이다. 금상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응종(呂應鍾):중국 명나라의 장수로서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의 2차 지원병을 이끌고 참전하였던 이여송(李如松)의 참모다.
주002)
의 드러:의(義)를 들어. 의병을 일으켰다는 말이다.
주003)
녕밧긔:재 너머. 영외(嶺外). 전라도에서 지리산 줄기 하동의 재를 넘어 경남 진주성까지 갔다는 말이다. 고종후는 진주성을 지키다가 남강에 투신 순절하였다.
주004)
효과 녈잣 다 닐러시니:효자와 열사까지 다 적었더라. 여기 ‘잣’은 ‘까지’라는 뜻인데, 어원은 ‘가()’를 이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