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7권 주해
  • 효자도 제7권
  • 황한입화(黃漢入火)
메뉴닫기 메뉴열기

황한입화(黃漢入火)


7 : 74ㄱ

黃漢入火

7 : 74ㄴ

黃漢京都人掌令黃敏中之子也天性至孝年十二遭父喪過哀三年不食鹽醬菜果一日家失火漢突入烈焰中奉神主出人皆歎服 今上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황한은 셔울 사이니 쟝녕 황민듕의 아이라 텬셩이 지극이 러니 나히 열둘에 아븨 상 만나 슬퍼기 너모야 삼년을 소곰 쟝  실과 먹디 아니더라 날에 집의 블이 나니 한이 셩 블곳 가온대 라드러 신쥬 받드러 내니 주001)
신쥬 받드러 내니:
신주를 받들어 나오니.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신쥬〉신주(神主)’가 되었다. 사판(祠版)이라고도 한다. 제례에서 4대를 봉사하는 조상 대대로 모시는 위패를 가리킨다. 별채인 사당에 감실(龕室)을 만들어 모시는 것이 기본이다. 사당이 있는 집이 드문 탓으로 벽감(壁龕)을 만들어 사랑채나 대청마루에 모셔놓는 경우도 있다. 본디 신주란,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주자가례(朱子家禮)의 정립과 더불어 보편화되었다. 신주의 재료는 주(周)의 예법에 따라 밤나무로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나게 만들며,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일본 등 동양 각국에서 조상에 대한 경건한 예를 표시하는 상징물이다. 신주는, 주신(主身), 주신의 앞부분인 전신, 뒷부분인 후신, 받침대 홈인 함중(陷中), 신주덮개인 도(韜), 깔개인 적(籍) 등으로 이루어진다. 신주의 글씨는 앞면에 붓으로 정성들여 쓴다.
사이 다 탄복더라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황한입화 - 황한이 불에 뛰어들다
황한은 서울 사람으로 장령 황민중의 아들이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나이 열둘에 아비 상을 당하여 슬퍼하기를 지나치게 하였다. 삼 년 동안 소금과 장, 나물과 실과를 먹지 아니하였다. 하루는 집에 불이 나매 황한이 성난 불꽃 가운데로 달려들어 신주를 받들어 내니, 사람들이 다 탄복하였다. 금상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신쥬 받드러 내니:신주를 받들어 나오니.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신쥬〉신주(神主)’가 되었다. 사판(祠版)이라고도 한다. 제례에서 4대를 봉사하는 조상 대대로 모시는 위패를 가리킨다. 별채인 사당에 감실(龕室)을 만들어 모시는 것이 기본이다. 사당이 있는 집이 드문 탓으로 벽감(壁龕)을 만들어 사랑채나 대청마루에 모셔놓는 경우도 있다. 본디 신주란,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주자가례(朱子家禮)의 정립과 더불어 보편화되었다. 신주의 재료는 주(周)의 예법에 따라 밤나무로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나게 만들며,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일본 등 동양 각국에서 조상에 대한 경건한 예를 표시하는 상징물이다. 신주는, 주신(主身), 주신의 앞부분인 전신, 뒷부분인 후신, 받침대 홈인 함중(陷中), 신주덮개인 도(韜), 깔개인 적(籍) 등으로 이루어진다. 신주의 글씨는 앞면에 붓으로 정성들여 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