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5권 주해
  • 효자도 제5권 목록
  • 세응부토(世應負土)
메뉴닫기 메뉴열기

세응부토(世應負土)


5 : 9ㄱ

世應負土

5 : 9ㄴ

參奉李世應固城縣人 至誠事親及歿負土以葬啜粥三年服闋因居廬不顧家事素衣素食朔望朝夕不廢奠禮三十餘年如初與兄弟分田宅奴婢自擇其薄且老者 恭憲大王朝㫌門 昭敬大王卽位初除 社稷參奉 賜春秋祭物復戶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참봉 니셰응은 고셩현 사이라 지셩으로 어버이 셤기다가 믿 주그매 흘글 져 영장고 쥭 마시기 삼년 고 몽상 버슨 후에 인여 시묘 사라 집일을 도라보디 아니코 흰옫과 소밥고 초 보롬이며 아 나죄 졔뎐 녜 폐티 아니기 셜흔나  처엄티 고 형뎨와 더브러 뎐과 노비 호 주001)
뎐과 노비 호:
밭과 집이며 노비를 나누되.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뎐〉젼〉전택(田宅)’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호’의 기본형은 ‘호다’인데, 음운탈락과 연철에 따른 소리가 굳어지면서 ‘호다〉노다〉나누다’로 변하였다.
스스로 박고 늘근이 더라 공헌대왕됴애 졍문시고 쇼경대왕 즉위초의 샤직 참봉 이시고 츈츄로 졔믈 주시고 복호시다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세응 부토 - 이세응이 흙을 쌓다
참봉 이세응은 고성현 사람이다. 지성으로 어버이를 섬기다가 이어 돌아가매 흙을 져다 장례를 치르고 죽마시기를 삼 년 동안 하였더라. 탈상한 뒤에도 시묘를 살며 집안일을 돌보지 않고 흰옷을 입고 거친 밥을 먹고 초하루 보름과 아침 저녁으로 제사하는 예를 그치지 않기를 서른 남짓 해를 넘겨 초상 때와 같이 이어 갔다. 형제와 더불어 논밭이며 집과 노비를 나누되 자신에게는 스스로 박하게 하고 늙은 노비를 선택하였다. 공헌대왕 명종 때 정문을 내렸다. 소경대왕 선조 즉위 초에 사직 참봉에 임명되었으며 봄가을로 제물을 내려 주고 부역을 면해 주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뎐과 노비 호:밭과 집이며 노비를 나누되.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뎐〉젼〉전택(田宅)’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호’의 기본형은 ‘호다’인데, 음운탈락과 연철에 따른 소리가 굳어지면서 ‘호다〉노다〉나누다’로 변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