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5권 주해
  • 효자도 제5권 목록
  • 소사할퇴(召史割腿)
메뉴닫기 메뉴열기

소사할퇴(召史割腿)


5 : 32ㄱ

召史割腿

5 : 32ㄴ

李召史高原郡人 方世安妻也 父狂疾 召史割腿 以服之得活 恭憲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니조이 주001)
니조이:
이 조이는. 주로 아내[妻]의 성(姓) 뒤에 붙여 써서 부르는 미칭(美稱)이다.
고원군 사이니 방셰안의 겨지비라 아비 미친병엳거 조이 다리 버혀 받오니 살믈 얻다 공헌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소사할퇴 - 이 조이가 다리뼈를 베다
조이 주002)
조이:
‘소사(召史)’의 우리말식 표기. ‘조이’라는 말은 신분에 걸림이 없이 여자의 미칭(美稱)으로 널리 쓰였다. ‘조이[召史]’가 확인되기로는 13세기부터다. 소리는 ‘조시[cosi]’로 적히다가 조선조 초부터 ‘조이[co-i]’로 변화하자 ‘조이(助吏), 조시(助是)’로 전사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이’로 후대까지 계속된 것은 문자의 보수성에 기인된 것으로 이해된다. 현대 『우리말큰사전』(한글학회)에서는 ‘조이’라는 올림말은 없고, ‘소사(召史)’를 ‘성의 아래에 붙여서 홀어미를 나타내는 말’이라고 풀이하였다. 즉 현대국어에서 ‘소사’라는 말이 쓰이고 있다는 것이지만, 이 책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언해문에서는 모두 ‘조이’로 적고 있고, 최남선의 『신자전』에도 “召史조이 良家妻又云寡婦見吏讀”라고 적고 있음을 볼 때 우리말인 ‘조이’로 적음이 타당하다고 본다. 추측컨대 ‘조이’는 ‘좋은이(도우미)〉좋이〉조이’의 말이 아닐까 싶다. 『성종실록』 성종 2년(1471) 6월 23일 기사에는, “익산 사람 학생 조민(曹敏)의 처 조이[召史]는 지아비가 죽으매 3년상을 행하고, 머리를 깍아 중이 되어 그 지아비의 형상을 그려 벽에 걸고 조석으로 분향하고 치전(致奠)하였다.”라는 말이 나온다. 이와 비슷한 말로, 현대국어에서는 주로 결혼한 여자를 높여 부르는 말로 ‘여사(女史)’를 많이 쓰고 있다.
는 고원군 사람으로 방세안의 아내였다. 아비 미친병에 걸렸거늘 조이가 다리뼈를 베어 드리니 살아났다. 공헌대왕 명종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조이:이 조이는. 주로 아내[妻]의 성(姓) 뒤에 붙여 써서 부르는 미칭(美稱)이다.
주002)
조이:‘소사(召史)’의 우리말식 표기. ‘조이’라는 말은 신분에 걸림이 없이 여자의 미칭(美稱)으로 널리 쓰였다. ‘조이[召史]’가 확인되기로는 13세기부터다. 소리는 ‘조시[cosi]’로 적히다가 조선조 초부터 ‘조이[co-i]’로 변화하자 ‘조이(助吏), 조시(助是)’로 전사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이’로 후대까지 계속된 것은 문자의 보수성에 기인된 것으로 이해된다. 현대 『우리말큰사전』(한글학회)에서는 ‘조이’라는 올림말은 없고, ‘소사(召史)’를 ‘성의 아래에 붙여서 홀어미를 나타내는 말’이라고 풀이하였다. 즉 현대국어에서 ‘소사’라는 말이 쓰이고 있다는 것이지만, 이 책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언해문에서는 모두 ‘조이’로 적고 있고, 최남선의 『신자전』에도 “召史조이 良家妻又云寡婦見吏讀”라고 적고 있음을 볼 때 우리말인 ‘조이’로 적음이 타당하다고 본다. 추측컨대 ‘조이’는 ‘좋은이(도우미)〉좋이〉조이’의 말이 아닐까 싶다. 『성종실록』 성종 2년(1471) 6월 23일 기사에는, “익산 사람 학생 조민(曹敏)의 처 조이[召史]는 지아비가 죽으매 3년상을 행하고, 머리를 깍아 중이 되어 그 지아비의 형상을 그려 벽에 걸고 조석으로 분향하고 치전(致奠)하였다.”라는 말이 나온다. 이와 비슷한 말로, 현대국어에서는 주로 결혼한 여자를 높여 부르는 말로 ‘여사(女史)’를 많이 쓰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