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5권 주해
  • 효자도 제5권 목록
  • 문경거려(文卿居廬)
메뉴닫기 메뉴열기

문경거려(文卿居廬)


5 : 10ㄱ

文卿居廬

5 : 10ㄴ

奉事李文卿禮山縣人 掌令李思恭之子也思恭有孝行文卿早喪父事母誠孝年六十母歿哀毁過禮葬祭以禮三年居廬一不到家不脫衰不見齒服闋爲父心喪三年晨昏謁廟如在草土時 恭憲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봉 니문경은 녜산현 사이니 쟝녕 니공의 아이라 공이 효이 읻더라 문경이 일 아비 일코 어미 셤기믈 졍셩과 효도더니 나히 여슌의 어미 죽거 슬허 샹훼호몰 법졔예 넘게 고 영장 졔 녜로 고 삼년의 녀막사리야  번도 지븨 니디 아니며 최복글 벋디 아니며 주001)
최복글 벋디 아니며:
상복을 벗지 않으며. 최복(衰服)은 굵은 삼베로 만든 옷인데, 부모나 조부모, 증조부모와 고조부모 상에 입던 옷을 이른다.
니 드러내디 아니더라 복기 매 아비 위야 주002)
복기 매 아비 위야:
복기(服朞)를 마쳤으되 아비를 위하여. 복기는 삼년상을 가리킨다.
심상 삼년 고 새배 어을메 당의 뵈기 초토 주003)
초토(草土):
거적자리와 흙 베개라는 뜻으로, 상중에 있음을 이르는 말.
의 이실 시절티 더라 공헌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문경거려 - 이문경이 여막에서 살다
봉사 이문경은 예산현 사람으로 장령 이사공의 아들이다. 이사공이 효행이 있었다. 이문경이 일찍이 아비를 잃고 어미 섬김을 정성과 효도로 하더니, 나이 예순의 어미가 돌아가거늘 슬퍼 애통함을 법도에 넘치게 하고, 장례와 제사를 예로써 치렀더라. 삼 년 동안 여막살이하여 한 번도 집에 돌아가지 않았다. 상복을 벗지 않으며 이를 겉으로 드러내지 않더라. 삼년상을 마쳤으되 아비를 위하여 마음으로 근신하는 심상을 삼 년 동안 하고, 새벽과 저녁에 사당에 들어가 뵙기를 상중(喪中) 때처럼 하였더라. 공헌대왕 명종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최복글 벋디 아니며:상복을 벗지 않으며. 최복(衰服)은 굵은 삼베로 만든 옷인데, 부모나 조부모, 증조부모와 고조부모 상에 입던 옷을 이른다.
주002)
복기 매 아비 위야:복기(服朞)를 마쳤으되 아비를 위하여. 복기는 삼년상을 가리킨다.
주003)
초토(草土):거적자리와 흙 베개라는 뜻으로, 상중에 있음을 이르는 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