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7권 주해
  • 효자도 제7권
  • 인준할고(仁俊割股)
메뉴닫기 메뉴열기

인준할고(仁俊割股)


7 : 5ㄱ

仁俊割股

7 : 5ㄴ

判官姜仁俊萬頃縣人性醇謹以孝友聞其父病重氣將絶仁俊割股肉斷手指出血和藥以飮之三日乃甦 今上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판관 강인쥰은 만경현 사이니 셩이 슌근며 효도고 동 랑키로 들리더니 그 아비 병이 듕야 긔운이 쟝 굿게 되엿거 주001)
긔운이 쟝 굿게 되엇거:
기운이 장차 그치게 되었거늘. 단모음화를 따라서 ‘긔운〉기운’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이러한 단모음화의 영향으로 근대국어로 오면서 중세어와 다른 모음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단모음의 숫자가 더욱 늘어난 결과다. ‘쟝〉장차’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여기서는 아래아의 변동으로 단순화된 보기이다.
인쥰이 다리 흘 베히고 손가락을 그처 피를 내야 약애 셔 마시인대 사만의 다시 사니라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인준할고 - 강인준이 다릿살을 베다
판관 강인준은 만경현 사람이다. 성품이 삼가고 순하며 효성스럽고 동생 사랑하기로 알려졌다. 그 아버지의 병이 깊어 기절하게 되었거늘 인준이 다리 살을 베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내어 약에 넣어 마시게 하니 사흘만에 다시 살아났다. 금상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긔운이 쟝 굿게 되엇거:기운이 장차 그치게 되었거늘. 단모음화를 따라서 ‘긔운〉기운’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이러한 단모음화의 영향으로 근대국어로 오면서 중세어와 다른 모음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단모음의 숫자가 더욱 늘어난 결과다. ‘쟝〉장차’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여기서는 아래아의 변동으로 단순화된 보기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