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8권 주해
  • 효자도 제8권
  • 이자동사(二子同死)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자동사(二子同死)


8 : 22ㄱ

二子同死

8 : 22ㄴ

幼學郭履祥履厚玄風縣人 忠臣郭䞭之子也 丁酉倭亂從其父 入黃石山城禦賊 城將陷 父謂履祥等曰 吾則義不可去 汝等死之無益 宜速出 履祥曰 父已決死 子等忍爲偸生耶 遂同死 今上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유 곽니샹니후 현풍현 사이니 튱신 곽쥰의 아리라 뎡유왜난애 그 아비를 조차 황셕산셩에 드러셔 도적글 방어더니 셩이 쟝 함케 되거 아비 니샹들 려 닐어 오 나 의예 가히 나가디 주001)
나 의예 가히 나가디:
나는 의리상 마땅히 나가지. ‘나가디’의 기본형은 ‘나가다’인데, 여기에 부사형 어미 ‘-디’가 통합된 것이다. ‘-디’는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디〉-지’로 그 소리가 달라졌다. 형성과정을 보면 의존명사 ‘’에 주격조사 ‘-이’가 유착되어 이루어진 형이다. 뒤에는 주로 부정적인 내용이 오므로 부정부사형이라 풀이하는 학설도 있다(최현배, 우리말본, 1939). 이러한 -계의 의존명사는 반드시 관형형 어미 아래 통합되는 분포상의 제약이 있다. 이러한 의존명사의 의존적인 특징이 관형사형 어미와 유착하여 이루어지는 어미와 조사가 우리말의 형태론적인 특징의 가장 대표적인 교착성을 발달시켜 왔다. 의존명사 가운데 기원 의존명사로 보이는 ‘, ’가 그 중심에 선다.
못려니와 너들 죽기 유익홈미 업스니 맛당히 리 나가라 대 니샹이 오 아바님이 임의 죽기 결단시니 식들히 아 살아시리잇가 고 가지로 주그니라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이자동사 - 두 아들이 함게 죽다
유학 곽이상곽이후는 현풍현 사람으로 충신 곽준의 아들이다. 정유왜란에 그 아비를 좇아 황석산성에 들어가 도적을 막아내더니, 성이 막 떨어지게 되거늘, 아비가 이상 형제에게 말하기를, 나는 의리로 가히 나갈 수 없으려니와 너희들은 죽어도 유익함이 없으므로 마땅히 빨리 나가라 하니, 곽이상이 말하기를, 아버님이 이미 죽기를 결심하시니 자식들이 차마 살아 있겠습니까 하고, 한가지로 죽었다. 금상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 의예 가히 나가디:나는 의리상 마땅히 나가지. ‘나가디’의 기본형은 ‘나가다’인데, 여기에 부사형 어미 ‘-디’가 통합된 것이다. ‘-디’는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디〉-지’로 그 소리가 달라졌다. 형성과정을 보면 의존명사 ‘’에 주격조사 ‘-이’가 유착되어 이루어진 형이다. 뒤에는 주로 부정적인 내용이 오므로 부정부사형이라 풀이하는 학설도 있다(최현배, 우리말본, 1939). 이러한 -계의 의존명사는 반드시 관형형 어미 아래 통합되는 분포상의 제약이 있다. 이러한 의존명사의 의존적인 특징이 관형사형 어미와 유착하여 이루어지는 어미와 조사가 우리말의 형태론적인 특징의 가장 대표적인 교착성을 발달시켜 왔다. 의존명사 가운데 기원 의존명사로 보이는 ‘, ’가 그 중심에 선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