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8권 주해
  • 효자도 제8권
  • 계복효우(季福孝友)
메뉴닫기 메뉴열기

계복효우(季福孝友)


8 : 58ㄱ

季福孝友

8 : 58ㄴ

私奴季福南平縣人事親至誠其母歿善居喪及兄死行素朞年其主服其孝友不以奴待之 今上朝 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로 계복은 남평현 사이라 어버이 셤기믈 지셩으로 더니 그 어미 죽거 거상호믈 잘고 밋 형이 죽거 소믈   니 그 항거시 그 효우호 항복여 주001)
그 항거시 그 효우호 항복여:
그 주인이 그 효성스럽고 우애 있음을 감복하여. ‘항것’은 ‘상전(上典), 주인’을 가리킨다. ‘효우호’의 기본형은 ‘효우다’인데, 여기에 삽입모음 ‘-오-’가, 다시 명사형 어미 ‘-ㅁ’이 통합되어 쓰인 형이다. 삽입모음이란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과 어말어미 사이에 끼어드는 선어말어미 ‘-오(요)/우(유)-’의 형태소를 말한다. 삽입모음은 15세기 중세 국어에서 규칙적으로 쓰여 오다가 중간 『두시언해』에 이르러 혼란한 양상을 보였다. ‘항복(降服)’은 ‘감복(感服), 탄복(歎服)’의 뜻이다.
죵으로 졉디 아니더라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계복효우 - 계복이 효도롭고 우애하다
사노 계복은 남평현 사람이다. 어버이 섬김을 지성으로 하더니, 그 어미 죽거늘 상례를 잘하고 뿐만 아니라 형이 죽거늘 소복을 입고 한 해를 지내니, 그 주인이 그 효성과 우애를 감복하여 종으로 대우하지 아니하였더라. 금상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 항거시 그 효우호 항복여:그 주인이 그 효성스럽고 우애 있음을 감복하여. ‘항것’은 ‘상전(上典), 주인’을 가리킨다. ‘효우호’의 기본형은 ‘효우다’인데, 여기에 삽입모음 ‘-오-’가, 다시 명사형 어미 ‘-ㅁ’이 통합되어 쓰인 형이다. 삽입모음이란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과 어말어미 사이에 끼어드는 선어말어미 ‘-오(요)/우(유)-’의 형태소를 말한다. 삽입모음은 15세기 중세 국어에서 규칙적으로 쓰여 오다가 중간 『두시언해』에 이르러 혼란한 양상을 보였다. ‘항복(降服)’은 ‘감복(感服), 탄복(歎服)’의 뜻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