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집(효자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6권 주해
  • 효자도 제6권
  • 이자효우(二子孝友)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자효우(二子孝友)


6 : 1ㄱ

二子孝友

6 : 1ㄴ

私奴希式希禎安山郡人有孝友行兄弟同居一家 昭敬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로 희식이와 희뎡이 안산군 사이라 효도고 동 랑 실이 잇니 주001)
동 랑 실이 잇니:
동생을 사랑하는 행실이 있더니. 중세국어에서 ‘다’는 ‘생각하다’의 뜻과 ‘사랑하다, 그리다’의 뜻이 있었는데, 여기서는 현대국어와 같은 뜻의 ‘사랑하다’에 더 가까워 보인다.
형뎨 지븨 사더라 주002)
형뎨 지븨 사더라:
형제가 한집에 살더라.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형뎨〉형졔〉형제’로 변동하였다. ‘형뎨’는 ‘-뎨’가 복모음 ‘뎌이’로 소리가 나므로 주격조사 ‘-이’가 동음생략을 입어 영형태로 실현되었다. ‘집’은 ‘같은 집’의 뜻이다.
쇼경대왕됴애 주003)
쇼경대왕됴애:
소경대왕조(昭敬大王朝)에. 소경대왕 재위 때에. 소경대왕은 선조의 시호이다. 조선 임금의 묘호와 시호를 보면 다음과 같다. (1)태조 강헌대왕(康獻大王), (2)정종(定宗) 공정대왕(恭靖大王), (3)태종 공정대왕(恭定大王), (4)세종 장헌대왕(莊憲大王), (5)문종 공순대왕(恭順大王), (6)단종 공의대왕(恭懿大王), (7)세조 혜장대왕(惠莊大王), (8)예종 양도대왕(襄悼大王), (9)성종 강정대왕(康靖大王), (10)연산군(시호 없음), (11)중종 공희대왕(恭僖大王), (12)인종 영정대왕(榮靖大王), (13)명종 공헌대왕(恭憲大王), (14)선조 소경대왕(昭敬大王), (15)광해군(시호 없음), (16)인조 헌문대왕(憲文大王), (17)효종 선문대왕(宣文大王), (18)현종 순문대왕(純文大王), (19)숙종 현의대왕(顯義大王), (20)경종 덕문대왕(德文大王), (21)영조 지행대왕(至行大王), (22)정조 문성대왕(文成大王), (23)순조 연덕대왕(淵德大王), (24)헌종 경문대왕(經文大王), (25)철종 희륜대왕(熙倫大王), (26)고종 태황제(太皇帝), (27)순종 효황제(孝皇帝).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이자효우 - 두 아들이 효도롭고 우애하다
사노 희식이와 희정이는 안산군 사람이다. 효도하고 동생 사랑하는 행실이 있더라. 형제가 한집에 살았더라. 소경대왕 선조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동 랑 실이 잇니:동생을 사랑하는 행실이 있더니. 중세국어에서 ‘다’는 ‘생각하다’의 뜻과 ‘사랑하다, 그리다’의 뜻이 있었는데, 여기서는 현대국어와 같은 뜻의 ‘사랑하다’에 더 가까워 보인다.
주002)
형뎨 지븨 사더라:형제가 한집에 살더라.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형뎨〉형졔〉형제’로 변동하였다. ‘형뎨’는 ‘-뎨’가 복모음 ‘뎌이’로 소리가 나므로 주격조사 ‘-이’가 동음생략을 입어 영형태로 실현되었다. ‘집’은 ‘같은 집’의 뜻이다.
주003)
쇼경대왕됴애:소경대왕조(昭敬大王朝)에. 소경대왕 재위 때에. 소경대왕은 선조의 시호이다. 조선 임금의 묘호와 시호를 보면 다음과 같다. (1)태조 강헌대왕(康獻大王), (2)정종(定宗) 공정대왕(恭靖大王), (3)태종 공정대왕(恭定大王), (4)세종 장헌대왕(莊憲大王), (5)문종 공순대왕(恭順大王), (6)단종 공의대왕(恭懿大王), (7)세조 혜장대왕(惠莊大王), (8)예종 양도대왕(襄悼大王), (9)성종 강정대왕(康靖大王), (10)연산군(시호 없음), (11)중종 공희대왕(恭僖大王), (12)인종 영정대왕(榮靖大王), (13)명종 공헌대왕(恭憲大王), (14)선조 소경대왕(昭敬大王), (15)광해군(시호 없음), (16)인조 헌문대왕(憲文大王), (17)효종 선문대왕(宣文大王), (18)현종 순문대왕(純文大王), (19)숙종 현의대왕(顯義大王), (20)경종 덕문대왕(德文大王), (21)영조 지행대왕(至行大王), (22)정조 문성대왕(文成大王), (23)순조 연덕대왕(淵德大王), (24)헌종 경문대왕(經文大王), (25)철종 희륜대왕(熙倫大王), (26)고종 태황제(太皇帝), (27)순종 효황제(孝皇帝).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