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열녀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7권 주해
  • 열녀도 제7권
  • 막금양고(莫今養姑)
메뉴닫기 메뉴열기

막금양고(莫今養姑)


7 : 66ㄱ

莫今養姑

7 : 66ㄴ

驛女莫今平海郡人 驛吏黃以宗妻也 早喪夫断髪哀毀 居喪以禮服闋之後 祭祀盡誠 姑老眼盲少不離側 飲食温清奉飬無 闕溷器亦皆親持 人皆歎服 今上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역녀 주001)
역녀:
역녀(驛女). 역참(驛站)에 딸려 심부름하던 여자.
막금은 평군 주002)
평군:
평해군(平海郡). 경상북도 울진지역의 옛 지명.
사이니 역니 황이종의 겨집이라 일 남진을 일코 머리털을 버히고 훼여 주003)
훼여:
훼[哀毁]-+-여. 슬픔 때문에 여위어.
거상을 녜로 더니 복  후에 졔 졍셩으로 다고 싀어미 늘거 눈이 멀거늘 져근덛도 주004)
져근덛도:
잠시도.
겨 나디 아니고 음식이며 더우며 믈 주005)
믈:
차가움을.
봉양호믈 궐 주006)
궐:
빠뜨리는.
이리 업고 뒤본 그슬 다 친히 자바 니 주007)
자바 니:
처리(處理)하니.
사이 다 탄복더라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막금양고 - 막금이 시어머니를 봉양하다
역녀 막금(莫今)은 평해군 사람이니, 역리 황이종(黃以宗)의 아내다. 일찍 남편을 잃고 머리카락을 베고 슬픔으로 여위어, 상례를 예로써 하더니, 상례를 마친 후에 제사를 정성을 지내고, 시어머니가 늙어 눈이 멀거늘 잠시도 곁을 떠나지 아니하고, 음식과 더움과 차가움을 봉양함을 거른 일이 없고, 용변을 본 그릇을 모두 친히 처리하니, 사람들이 모두 탄복하였다. 지금의 조정에서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역녀:역녀(驛女). 역참(驛站)에 딸려 심부름하던 여자.
주002)
평군:평해군(平海郡). 경상북도 울진지역의 옛 지명.
주003)
훼여:훼[哀毁]-+-여. 슬픔 때문에 여위어.
주004)
져근덛도:잠시도.
주005)
믈:차가움을.
주006)
궐:빠뜨리는.
주007)
자바 니:처리(處理)하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