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열녀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8권 주해
  • 열녀도 제8권
  • 소씨절행(蘇氏節行)
메뉴닫기 메뉴열기

소씨절행(蘇氏節行)


8 : 75ㄱ

蘇氏節行

8 : 75ㄴ

蘇氏礪山郡人 忠義衛安壽仁妻也 夫死截其頭髮隨長即斷 過三年不脫喪服 且爲亡夫墓祭畜 一雌牛 凡遇節祀 雖大雪大雨必騎徃祭之 丁酉倭亂與亡夫弟安敬仁 及其老母同行避賊 敬仁中路分徃他䖏 蘇氏哭別其母 随敬仁以去識者歎服 今上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소시 녀산군 주001)
녀산군:
여산군(礪山郡).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었던 행정구역.
사이니 튱의위 안슈인의 안해라 지아비 죽거 그 머리터 버혀 란 죡죡 주002)
죡죡:
족족.
즉시 버히고 삼 년이 디나되 상복을 벗디 아니코  주근 지아 묘졔 주003)
묘졔:
묘제(墓祭). 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 위야  암쇼 주004)
암쇼:
암소.
 쳐셔 므 주005)
므:
무릇. 15세기 어형은 ‘믈읫’, ‘믈윗’, ‘믈읏’으로 나타난다. 17, 18세기 문헌에는 이 단어의 변화형이 여러 가지로 나타났다. 받침 ‘ㄹ’의 연철에 의한 ‘므릣’, 순자음 뒤의 원순모음화형인 ‘무릣’, ‘ㅢ’의 단모음화에 의한 ‘무릇’, 어중 ‘ㄹ’의 겹침에 따른 ‘물릇’ 등 아주 다양한 변화형이 문헌에 반영되어 있다.
졀일 주006)
졀일:
절일(節日). 명절날.
의 졔 만나 비록 큰 눈이나 큰 비라도 반시 고 가 졔더라 뎡유왜난의 주근 지아 아 주007)
아:
아우.
안경인과 믿 늘근 어미로 더브러 가지로 가 도적을 피더니 경인이 듕노 주008)
즁노:
중로(中路). 중도(中途).
화 주009)
화:
호[分]-+-아. 나누어.
다  드러가거 소시 울고 그 어미 니별고 경인을 조차  가니 유식 사이 탄복더라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소씨절행 - 소씨가 절개를 지키다
소씨여산군 사람이니, 충의위 안수인(安壽仁)의 아내다. 남편이 죽거늘 그 머리털을 베어 자라는 족족 즉시 베고, 삼년이 지나되 상복을 벗지 아니하고, 또 죽은 남편의 묘제를 위하여, 암소를 길러서 무릇 명절날에 제사를 만나, 비록 큰 눈이나 큰 비가 오더라도, 반드시 타고 가 제를 올렸다. 정유왜란에 죽은 남편의 아우 안경인(安敬仁)과 늙은 어머니와 함께 한가지로 가서, 도적을 피하였더니, 경인이 중도에 나뉘어, 다른 곳에 들어가거늘, 소씨가 울고 그 어머니를 이별하고, 경인을 따라 가니, 유식한 사람들이 탄복하였다. 지금의 조정에서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녀산군:여산군(礪山郡).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었던 행정구역.
주002)
죡죡:족족.
주003)
묘졔:묘제(墓祭). 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주004)
암쇼:암소.
주005)
므:무릇. 15세기 어형은 ‘믈읫’, ‘믈윗’, ‘믈읏’으로 나타난다. 17, 18세기 문헌에는 이 단어의 변화형이 여러 가지로 나타났다. 받침 ‘ㄹ’의 연철에 의한 ‘므릣’, 순자음 뒤의 원순모음화형인 ‘무릣’, ‘ㅢ’의 단모음화에 의한 ‘무릇’, 어중 ‘ㄹ’의 겹침에 따른 ‘물릇’ 등 아주 다양한 변화형이 문헌에 반영되어 있다.
주006)
졀일:절일(節日). 명절날.
주007)
아:아우.
주008)
즁노:중로(中路). 중도(中途).
주009)
화:호[分]-+-아. 나누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