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열녀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5권 주해
  • 열녀도 제5권
  • 박씨여묘(朴氏廬墓)
메뉴닫기 메뉴열기

박씨여묘(朴氏廬墓)


5 : 45ㄱ

朴氏廬墓

5 : 45ㄴ

貞夫人朴氏京都人 同知南復興之妻也 事姑盡誠 鄰里稱之夫喪勺水不入口號哭不輟結廬墓側執奠具朝夕上塜不避風雨柴毀顛仆不梳洗啜粥三年服闋之後白衣素食以罪人自處 今上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뎡부인 주001)
뎡부인:
정부인(貞夫人). 조선 시대 외명부의 정·종2품의 위호(位號).
박시 셔울 사이니 동디 주002)
동디:
동지(同知). 동지사(同知事)의 줄임말로서, 조선 시대 종2품의 관직. 삼군부, 돈녕부, 의금부, 경연, 성균관, 춘추관, 중추부 등에 각각 약간 명을 두었음.
남복흥 주003)
남복흥(南復興):
개국 공신(開國功臣) 영의정 남재(南在)의 8대손인 남맹하의 장남. 문과에 급제하여 동지(同知)가 되었고 직장(直長) 박귀원(朴貴元)의 딸과 혼인하였다.
의 안해라 싀어비 셤기믈 졍셩을 다니 닌리 주004)
닌리:
인리(鄰里). 인동. 이웃 마을.
일더라 지아븨 거상 주005)
거상(居喪):
상중(喪中)에 있음.
쟉슈 주006)
쟉슈:
작수(勺水). 한 작의 물이라는 뜻으로, 한 모금의 물을 이르는 말.
 이베 드리디 아니고 호곡 주007)
호곡(號哭):
소리를 내어 슬피 욺. 또는 그런 울음.
을 그치디 아니고 초막을 분묘 애 지어 몸소 뎐믈을 주008)
뎐믈을:
전물(奠物)을. 제전(祭奠)에 쓰이는 제기(祭器)나 음식물 일체를 말함.
자바고 됴셕의 분묘애 올라 풍우 피티 아니고 싀훼여 주009)
싀훼여:
시훼(柴毀)하여. 상을 당하여 슬퍼하여 몸이 바짝 마르고 여위어.
업듣고 주010)
업듣고:
엎드리고.
머리 빋고 셰슈디 아니고 쥭글 삼 년을 마시더니 거상  후도 흰 옫과 소음식여 주011)
소음식고:
소식(素食)하고. ‘소식’은 고기반찬 없는 밥.
죄인으로 쳐더라 금샹됴의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박씨여묘 - 박씨가 여묘살이를 하다
정부인 박씨는 서울 사람이니, 동지 남복흥의 아내다. 시부모님 섬기기를 정성을 다하였는데, 이웃마을에서도 칭송하였다. 지아비의 상중에 물 한모금도 입에 대지 않고, 울음을 그치지 않고, 초막을 분묘가에 지어, 몸소 제물을 준비하고, 밤낮으로 분묘에 올라 비바람을 피하지 않고, 엎드리고 머리도 빗지 않고, 세수도 하지 않고, 삼년간 죽을 마시더니, 거상을 마친 후에도 흰 옷을 입고, 소식하여 죄인으로 자처하였다. 지금의 조정에서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뎡부인:정부인(貞夫人). 조선 시대 외명부의 정·종2품의 위호(位號).
주002)
동디:동지(同知). 동지사(同知事)의 줄임말로서, 조선 시대 종2품의 관직. 삼군부, 돈녕부, 의금부, 경연, 성균관, 춘추관, 중추부 등에 각각 약간 명을 두었음.
주003)
남복흥(南復興):개국 공신(開國功臣) 영의정 남재(南在)의 8대손인 남맹하의 장남. 문과에 급제하여 동지(同知)가 되었고 직장(直長) 박귀원(朴貴元)의 딸과 혼인하였다.
주004)
닌리:인리(鄰里). 인동. 이웃 마을.
주005)
거상(居喪):상중(喪中)에 있음.
주006)
쟉슈:작수(勺水). 한 작의 물이라는 뜻으로, 한 모금의 물을 이르는 말.
주007)
호곡(號哭):소리를 내어 슬피 욺. 또는 그런 울음.
주008)
뎐믈을:전물(奠物)을. 제전(祭奠)에 쓰이는 제기(祭器)나 음식물 일체를 말함.
주009)
싀훼여:시훼(柴毀)하여. 상을 당하여 슬퍼하여 몸이 바짝 마르고 여위어.
주010)
업듣고:엎드리고.
주011)
소음식고:소식(素食)하고. ‘소식’은 고기반찬 없는 밥.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