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열녀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7권 주해
  • 열녀도 제7권
  • 소사익수(召史溺水)
메뉴닫기 메뉴열기

소사익수(召史溺水)


7 : 59ㄱ

召史溺水

7 : 59ㄴ

朴召史副正朴苡之孽孫女 辛鷲壽之妻也 靈山縣人 與其夫避倭賊于山谷 賊將執之即紿曰 吾當自徃便即就道行到津處 先趍上船 賊以爲順已已也至中流 飜身溺水而死 今上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박조이 부졍 주001)
부졍:
부정(副正). 조선 시대 종친부(宗親府). 돈녕부(敦寧府). 봉상시(奉常寺). 사복시(司僕寺). 군기시(軍器寺)와 그 밖의 여러 관아(官衙)에 둔 종3품(從三品)의 벼슬.
박이의 얼손녜오 주002)
얼손녜오:
얼손녀이오. 서자의 손녀이오.
신츅슈의 쳬니 녕산현 주003)
녕산현:
영산현(靈山縣).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일대의 옛 행정 구역.
사이라 그 지아비로려 왜적을 묃골의 피더니 도적이 쟝 자브려 거 즉시 소겨 오 내 당당이 스스로 가리라 믄득 즉시 길헤 나아가더니  주004)
:
나루[津]. ‘나루’가 소급하는 최초의 형태는 15세기의 ‘’이다. 이 형태는 15세기에 모음 앞에서는 ‘ㅇ’(예 : 주격형 ‘이’)으로 실현되었다. 17세기에도 모음 앞에서 ‘ㅇ’으로 표기되는 예들이 나타난다. ‘’는 17세기부터 나타나는 ‘〉ㅗ’의 변화를 경험하여 18세기에는 ‘로’로 나타나며, ‘로’는 18세기 중엽에 일어난 ‘〉ㅏ’의 변화를 경험하여 19세기에 ‘나로’로 나타난다. 19세기에 나타나서 현대어로 이어지는 ‘나루’는 ‘나로’가 비어두 음절의 ‘ㅗ〉ㅜ’ 변화를 경험한 결과이다.
고 다라 몬져 주005)
몬져:
먼저. ‘먼저’는 15세기에 ‘몬져’로 나온다.
라드러 주006)
라드러:
달려들어.
예 오대 도적이  녀기되 제게 슌죵다 더니 가온대 니러 몸을 번텨 주007)
번텨:
뒤척여.
믈의 뎌 죽다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소사익수 - 조이가 물에 빠지다
박 조이(朴召史)는 부정 박이(朴苡)의 얼손녀이요, 신취수(辛鷲壽)의 아내니, 영산현 사람이라. 그 남편과 함께 왜적을 산골짜기로 피하더니, 도적이 장차 잡으려 하거늘, 즉시 속여 말하되, 내 당당히 스스로 가리라. 문득 즉시 길에 나아가더니 나루에 다달아 먼저 달려들어 배에 오르니, 도적이 이로써 생각하되, 자기에게 순종한다 하더니, 가운데에 이르러 몸을 뒤척여 물에 빠져 죽었다. 지금의 조정에서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졍:부정(副正). 조선 시대 종친부(宗親府). 돈녕부(敦寧府). 봉상시(奉常寺). 사복시(司僕寺). 군기시(軍器寺)와 그 밖의 여러 관아(官衙)에 둔 종3품(從三品)의 벼슬.
주002)
얼손녜오:얼손녀이오. 서자의 손녀이오.
주003)
녕산현:영산현(靈山縣).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일대의 옛 행정 구역.
주004)
:나루[津]. ‘나루’가 소급하는 최초의 형태는 15세기의 ‘’이다. 이 형태는 15세기에 모음 앞에서는 ‘ㅇ’(예 : 주격형 ‘이’)으로 실현되었다. 17세기에도 모음 앞에서 ‘ㅇ’으로 표기되는 예들이 나타난다. ‘’는 17세기부터 나타나는 ‘〉ㅗ’의 변화를 경험하여 18세기에는 ‘로’로 나타나며, ‘로’는 18세기 중엽에 일어난 ‘〉ㅏ’의 변화를 경험하여 19세기에 ‘나로’로 나타난다. 19세기에 나타나서 현대어로 이어지는 ‘나루’는 ‘나로’가 비어두 음절의 ‘ㅗ〉ㅜ’ 변화를 경험한 결과이다.
주005)
몬져:먼저. ‘먼저’는 15세기에 ‘몬져’로 나온다.
주006)
라드러:달려들어.
주007)
번텨:뒤척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