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집(열녀도 권5,6,7,8)
  • 동국신속삼강행실 열녀도 제5권 주해
  • 열녀도 제5권
  • 권씨절행(權氏節行)
메뉴닫기 메뉴열기

권씨절행(權氏節行)


5 : 65ㄱ

權氏節行

5 : 65ㄴ

權氏安東府 熱直長李安道妻也 事舅姑孝 夫歿著單衣 席藁晝夜哭 不絕聲者五月 既祥病益深 絕而復蘇 始飲煑粟汁 不粒食 不梳頭 不觧帶者 二十三年 甞曰吾所以 不死爲後事也 今若不立嗣死 無以見亡人於泉下 以夫弟詠道之子爲後 今上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권시 안동부 사이니 딕댱 주001)
딕댱:
직장(直長). 조선 때 종7품의 벼슬. 봉상시, 종부시, 사옹원, 의금부, 상서원을 비롯한 30개 중앙(中央) 부서에 있었음.
니안도 주002)
이안도(李安道):
중종 36년(1541)~선조 17년(1584) 간의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봉원(逢原), 호는 몽재(蒙齋). 이황(李滉)의 장손.
의 안해라 싀어버이 셤기믈 효도더니 지아비 죽거 혿옷 니브며 거적 고 듀야의 우러 소 그치디 아니키 다 리러라 주003)
다 리러라:
다섯 달이더라.
이믜 샹호매 병이 더옥 기퍼 긔졀엿다가 도로 사라 비로소 달힌 조즙블 주004)
달힌 조즙블:
달인 조즙을.
마시고 나 주005)
나:
쌀낱을.
먹디 아니며 머리 빋디 아니며  그디 주006)
 그디:
띠를 끄르지.
아니기 스믈세  니라 일즙 주007)
일즙:
일찍이. ‘일찍’의 15세기 형태는 ‘일’이다. 15세기에 ‘일’과 함께 나타나는 ‘일즉’은 ‘일+즉’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즉’의 기원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닐오 내 죽디 아니 바 후 이 주008)
후 이:
후사(後嗣) 잇기를.
위호미라 이제 만일 니우리 주009)
니우리:
후사(後嗣). 대를 잇는 자식.
세디 아니면 주010)
세디 아니면:
세우지 아니하면.
주거셔 주근 사을 디하의 가 보디 몯 거시라 고 지아 아 영도의 아로 후 사므니라 주011)
후 사므니라:
후사를 삼으니라.
금샹됴의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권씨절행 - 권씨가 절개를 지키다
권씨안동부 사람이니, 직장 이안도(李安道)의 아내다. 시부모님을 효도로 섬겼는데, 지아비가 죽자 홑옷을 입고 거적을 깔고, 밤낮으로 울어 소리를 그치지 않기를 다섯 달 동안 하여, 몸이 상하여 병이 더욱 깊어져, 기절하였다가 다시 살아서, 달인 조즙을 마시고, 쌀을 먹지 않으며, 머리를 빗지 않고, 띠를 끄르지 않기를 스무 세 해 동안 하였다. 일찍이 말하기를 내 죽지 않는 것은, 후사를 잇기 위함이다. 이제 만일 후사를 세우지 않으면, 죽어서 죽은 사람을 지하에 가서 보지 못할 것이다 하고, 지아비의 아우를 영도의 아들로 후사로 삼았다. 지금의 조정에서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이상규 / 2015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딕댱:직장(直長). 조선 때 종7품의 벼슬. 봉상시, 종부시, 사옹원, 의금부, 상서원을 비롯한 30개 중앙(中央) 부서에 있었음.
주002)
이안도(李安道):중종 36년(1541)~선조 17년(1584) 간의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봉원(逢原), 호는 몽재(蒙齋). 이황(李滉)의 장손.
주003)
다 리러라:다섯 달이더라.
주004)
달힌 조즙블:달인 조즙을.
주005)
나:쌀낱을.
주006)
 그디:띠를 끄르지.
주007)
일즙:일찍이. ‘일찍’의 15세기 형태는 ‘일’이다. 15세기에 ‘일’과 함께 나타나는 ‘일즉’은 ‘일+즉’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즉’의 기원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주008)
후 이:후사(後嗣) 잇기를.
주009)
니우리:후사(後嗣). 대를 잇는 자식.
주010)
세디 아니면:세우지 아니하면.
주011)
후 사므니라:후사를 삼으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