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태산집요

  • 역주 언해태산집요
  •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해산도를 붙일 법[貼産圖法]
  • 달마다 도는 태살이 있는 곳[月遊胎殺所在]
메뉴닫기 메뉴열기

달마다 도는 태살이 있는 곳[月遊胎殺所在]


○月遊胎殺[煞]所在

마다 도 살주001)
태살(胎殺):
태를 해치는 독한 기운. 혹은 귀신의 짓거리. 이러한 살을 막기 위하여 살풀이를 한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 해의 나쁜 운을 풀기 위해 굿판을 벌였는데 그곳에서 무당이 즉흥적으로 나쁜 기운을 푸는 춤을 춘 것을 살풀이춤이라 하며, 도살풀이춤·허튼춤·입춤·수건춤·즉흥무라고도 한다. 살풀이춤은 일명 입춤, 수건춤, 즉흥무라고 하는 남도무무(南道巫舞) 계열의 하나이며, 살풀이 장단에 시나위를 연주하되 피리, 대금, 장고, 아쟁, 북 등의 반주로서 춤을 추며, 무무(巫舞)로서 오랜 역사성을 지니고 있는 민속춤이다. 일설에 신라시대의 ‘도솔가’는 ‘도살풀이’, ‘살풀이’라고 해석되며, 시나위는 향가 중 사뇌가(詞腦歌)의 맥과 통한다. 따라서 이 춤의 내력은 매우 오래된 남도무무라 할 수 있다.
인 라

달마다 도는 태살이 있는 곳이다.

正月【在房床】 二月【在窓戶】 三月【在門堂】 四月【在竈】 五月【在身床】 六月【在床倉】 七月【在確磨】 八月【在厠】 九月【在門】 十月【在戶房】 十一月【在爐】 十二月【在床】 子丑日【在中堂】 寅卯辰酉日【在竈】 巳午日【在門】 未申日【在離下】 戌亥日【在房】
Ⓒ 편찬 | 허준 / 1608년 1월 일

졍월의 방과 상의 잇고 이월의 창의 잇고 삼월의 문과 듕당의 잇고 월의 브어긔주002)
브어긔:
부엌에. 원순모음화와 격음화에 따라서 ‘브억〉부억〉부엌’으로 소리가 변동되었다.
잇고 오월의 몸과 상의 잇고 뉴월의 상과 곡식 녀 주003)
녀 :
넣은 데.
잇고 칠월의 방하과주004)
방하과:
방아와. 경상도 말로는 ‘방구’라 한다. 기역의 소리가 약해지면 히읗이 됨을 고려하면, ‘방구-방하’는 같은 말의 소리 계열로 볼 수 있다.
메예주005)
메예:
맷돌.
잇고 팔월의

언해태산집요 66ㄴ

뒷간의 잇고 구월의 문의 잇고 시월의 방의 잇고 동지애 화뢰예 잇고 섯애 평상의 잇고 튝날은 듕당의 잇고 인묘진유 날은 브어긔 잇고 오날은 문의 잇고 미신날은 울헤 잇고 슐 날은 방의 인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 1월 일

정월에는 방과 상에 있고 이월에는 창에 있다. 삼월에는 문과 집 가운데 있고 사월에는 부엌에 있다. 오월에는 몸과 상에 있고 유월에는 상과 곡식 넣어 두는 데 있다. 칠월에는 방아와 맷돌에 있고 팔월에는 뒷간에 있다. 구월에는 문에 있고 시월에는 방에 있다. 동짓달에는 화로에 있고 섣달에는 평상에 있다. 자축일은 중당에 있고 인묘 진유일은 부엌에 있다. 사오일에는 문에 있고 미신일은 울타리에 있고 술해일은 방에 있다.
Ⓒ 역자 | 정호완 / 2010년 7월 10일

安産蔵衣十三神吉凶方位
【蔵衣】【狂虎】【安産】【運鬼】【雷公】【招搖】【軒轅】【咸池】【豊降】【天徇】【天伕】【大夫】【白虎】
【吉方】【吉方】【力士】【大時】【吳時】
正月
二月【甲庚】
三月
四月

언해태산집요 67ㄱ

五月
六月
七月【子酉】
八月【庚艮】【酉午】
九月
十月
十一月【壬巽】
十二月
Ⓒ 편찬 | 허준 / 1608년 1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태살(胎殺):태를 해치는 독한 기운. 혹은 귀신의 짓거리. 이러한 살을 막기 위하여 살풀이를 한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 해의 나쁜 운을 풀기 위해 굿판을 벌였는데 그곳에서 무당이 즉흥적으로 나쁜 기운을 푸는 춤을 춘 것을 살풀이춤이라 하며, 도살풀이춤·허튼춤·입춤·수건춤·즉흥무라고도 한다. 살풀이춤은 일명 입춤, 수건춤, 즉흥무라고 하는 남도무무(南道巫舞) 계열의 하나이며, 살풀이 장단에 시나위를 연주하되 피리, 대금, 장고, 아쟁, 북 등의 반주로서 춤을 추며, 무무(巫舞)로서 오랜 역사성을 지니고 있는 민속춤이다. 일설에 신라시대의 ‘도솔가’는 ‘도살풀이’, ‘살풀이’라고 해석되며, 시나위는 향가 중 사뇌가(詞腦歌)의 맥과 통한다. 따라서 이 춤의 내력은 매우 오래된 남도무무라 할 수 있다.
주002)
브어긔:부엌에. 원순모음화와 격음화에 따라서 ‘브억〉부억〉부엌’으로 소리가 변동되었다.
주003)
녀 :넣은 데.
주004)
방하과:방아와. 경상도 말로는 ‘방구’라 한다. 기역의 소리가 약해지면 히읗이 됨을 고려하면, ‘방구-방하’는 같은 말의 소리 계열로 볼 수 있다.
주005)
메예:맷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