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태산집요

  • 역주 언해태산집요
  •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자식을 구하여 낳을 방법[求嗣]
  •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메뉴닫기 메뉴열기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調經種玉湯
熟地黃 香附子【各六錢】 當歸【酒洗】 吳茱萸【炒】 川芎【各四錢】 白灼藥 白茯苓 陳皮 玄胡索 牡丹皮【各三錢】 肉桂 乾薑【炮】 熟艾【二錢】

언해태산집요 4ㄱ

右挫分作四貼每服生薑三片同煎空心溫服臨臥時留渣再煎服待經行之日服起一日一貼藥盡經止交合必孕【古今醫監】
Ⓒ 편찬 | 허준 / 1608년 1월 일

됴죵옥주001)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됴죵옥. 부인이 7정(七情)에 상해서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 찐지황(숙지황), 향부자(닦은 것) 각각 24그램, 당귀(술로 씻은 것), 오수유, 궁궁이(천궁) 각각 16그램, 집함박꽃 뿌리(백작약),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 현호색, 모란뿌리 껍질(목단피), 건강(닦은 것) 각각 12그램, 육계, 비빈 쑥 각각 8그램의 약재들을 썰어 네 첩으로 나누어 매 한 첩에 생강 세 쪽을 넣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되 달거리가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하루에 1첩씩 먹는다. 다 먹은 뒤에 성생활을 하면 반드시 임신이 된다. 이 약은 백발백중 한다[의감].
은 슉디 향부 각 여 돈 당귀주002)
당귀(當歸):
당귀의 약리적인 효능은 어떠한가. 당귀란 참당귀의 뿌리를 말하며 고려시대 목귀초(目貴草), 당적(當赤)이라고도 하였다. 1600년대에는 숭엄초불휘라고도 하였다. 다른 이름으로 숙근초(宿根草)라고도 한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 비타민 이(E) 등이 들어 있다. 월경을 조절하고 월경통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으니,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두드러져 빈혈에 유효하고 일반 타박상이나 현전성 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용하면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변비에 복용하면 장관운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통변을 쉽게 한다. 이 밖에도 빈혈로 오는 두통, 관절염 등에 널리 사용한다.
*보혈(補血) 기능-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의 처방은 사물탕과 사군자탕에 바깥을 지켜주는 황기와 안을 데워주는 육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물탕에 대표약이 당귀다. 즉 피의 성분이 되는 약이다.
*활혈(活血) 기능- 혈액순환의 기능을 이른다. 당귀는 혈액을 잘 흐르게 하고 어혈을 제거한다. 대표적인 처방으로 당귀 수산이라는 처방이 있다. 이는 당귀의 뿌리가 주로 많이 쓰인다. 여기서 당귀는 어혈을 제거하고 진통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래서 타박상이나 산후에 뱃속에 어혈을 당귀가 제거시키는 작용을 한다.
*변비 치료- 당귀는 변비에 쓰인다. 당귀가 가지고 있는 보혈기능과 함께 장을 움직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혈액이 부족해서 장이 잘 안 움직이는 경우 보혈기능과 장을 움직이는 기능으로 변을 잘 볼 수 있게 한다.
*자궁 수축 기능- 당귀는 임산부가 출산하기 전에 복용을 하게 되면 출산 시에 자궁의 수축력을 키워주며, 자궁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머리를 검게 머리를 안 빠지게 하는 기능- 당귀는 머리에 작용해서 나쁜 기운을 밑으로 끌고 내려가며 머리에 피가 많이 가게 해서 머리가 빠지거나 희게 되는 것을 막아준다. 당귀차 끓여 먹는 법은 물 1리터를 기준으로 봤을 때, 당귀 20~30그램을 깨끗한 물에 넣고 흔들어 씻고 난 뒤, 물 1리터에 씻은 당귀를 부직포에 담아 넣고 센 불로 끓이고 끓기 시작하면 약한 불로 30분 이상 달이면 된다.
술의 싯고 오슈유 초고 쳔궁주003)
천궁(川芎):
쳔궁.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약초. 흔히 재배하는 식물로 키는 30~60센티이다. 잎은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난다. 난형(卵形)의 잔잎은 깃털처럼 깊게 패어 있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밑 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흰색의 꽃은 겹산형[複傘形] 꽃차례에 달리며 총포(總苞)와 작은 총포는 각각 5~6개로 선형이고 열매는 익지 않는다. 한국에는 같은 천궁속(川芎屬 cnidium)에 속하는 식물로 잎이 깃털 모양의 겹잎이고 열매에 날개 같은 능선이 각각 10개가 있는 벌사상자·개회향과 바닷가에서 비스듬히 자라고 겹산형 꽃차례가 아닌 갯사상자가 자생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음위·간질·대하·치풍 치료에 쓴다. 보익제·진정제·진통제·강장제로 사용한다. 한 약재로 쓰는 천궁은 고르지 못한 혹 모양으로 덩어리를 이룬 뿌리줄기인데 길이 2~7센티, 지름 2~5센티며 흔히 목심(木心)이 노출되어서 연쇄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암갈색을 나타내고 쭈글쭈글 하다. 쪼갠 면은 거칠고 연한 갈색이나 유황색을 나타내고 강한 향기가 있다. 7~8월에 천궁이 완전히 자랐을 때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없애고 말린다.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 알코올, 페놀성 물질 등이 있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쓰다. 주로 간경·담경·심포경(心包經)에 작용하며 삼초(三焦)에도 작용한다. 천궁의 효능으로는 활혈행기(活血行氣)·거풍지통(祛風止痛:풍사를 제거해서 통증을 치료함)이 있다. 월경통·희발월경(稀發月經)·과소월경(過小月經)·무월경(無月經) 등으로 입술색이 담백하고 안면이 창백하며 하복통 등의 피 모자람증이 있을 때는 천궁을 사용해서 피 돌림을 잘 시키고 진통하며, 아울러 다른 보혈재를 배합한다. 천궁의 약성은 거풍력(祛風力)이 세므로 주로 풍한증의 두통이나 풍습으로 인한 편두통에 유효하다. 따라서 온갖 두통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간기울결(肝氣鬱結)로 인한 어혈두통, 즉 신경증 등으로 인한 자율신경 실조로 두부혈관의 수축·확장에 장애가 생겼을 때 시호·지각·적작약·도인·홍화 등을 배합하여 간울(肝鬱)을 풀고 피 돌림을 좋게 하여 통증을 가라앉힌다. 풍습이나 기체(氣滯)로 인한 혈관폐색이나 근육에 대한 혈액의 영양장애 등으로 인해 생긴 전신의 동통·마목·마비에 사용한다. 다발성 신경염·뇌혈관연축(腦血管攣縮)·뇌 혈전 후유증 등으로 인한 마비·류머티즘·만성 신경성 류머티즘 등에 의한 동통·마목·경련 등에 천궁을 다른 거풍양혈약과 같이 사용한다. 이밖에 혈류를 촉진하여 다른 약의 작용을 도움으로써 담마진·습진 등에도 많이 배합된다. 이때 용량은 적은 편이 좋다. 월경이 많거나 출혈성 질환에 좋으나 몸이 더운 때에는 삼가야 된다.
각 너 돈 샤[쟉]약 복녕 딘피 현호삭 모란피 각 서 돈 육계 건 구으니 부븬  각 두 돈 이 싸라 네 복애 분야  복의 강 세 뎜 녀허 달혀 공심에 먹고 즈의 듯다가 누을 제주004)
즈의 듯다가 누을 제:
찌꺼기는 두었다가 자기 전에. ‘즈의’는 찌꺼기를 이르며 ‘두었다가’는 ‘두었다’로 풀이한다. ‘누울 제’는 자기 위하여 눕는 것을 이른다.
 달혀 머그라 겨집이 월 나 날브터   복식 머거 약 다 먹고 월 긋거든  자면 일뎡 잉니라주005)
 자면 일뎡 잉니라:
함께 자면 반드시 아이를 밴다. 여기 ‘’는 한군데를 이르며 부부가 잠자리를 함께함을 이른다. ‘일뎡’은 ‘반드시’로 풀이한다. 지금도 현대 중국어에서는 ‘반드시’로 통용된다. ¶你一定學習韓國歷史.
Ⓒ 언해 | 허준 / 1608년 1월 일

조경종옥탕은 숙지황과 향부자 각 여섯 돈, 당귀를 술에 씻고 오수유를 볶고 천궁 각 너 돈과 백작약과 백복령, 진피와 현호삭, 모란피 각 석 돈, 육계와 마른 생강 구은 것하고, 익힌 쑥 각 두 돈 이를 썰어 네 번 마실 것으로 나누어 한 번 마실 때 생강 세 점을 넣어 달여서 빈 속에 먹는다. 찌꺼기를 남겨 두었다가 자기 전에 또 달여 먹으라. 부인이 월경이 있는 날부터 하루 한 번씩 먹어 약을 다 먹고 월경이 그치거든 함께 자면 반드시 아이를 배게 된다.
Ⓒ 역자 | 정호완 / 2010년 7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됴죵옥. 부인이 7정(七情)에 상해서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 찐지황(숙지황), 향부자(닦은 것) 각각 24그램, 당귀(술로 씻은 것), 오수유, 궁궁이(천궁) 각각 16그램, 집함박꽃 뿌리(백작약),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 현호색, 모란뿌리 껍질(목단피), 건강(닦은 것) 각각 12그램, 육계, 비빈 쑥 각각 8그램의 약재들을 썰어 네 첩으로 나누어 매 한 첩에 생강 세 쪽을 넣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되 달거리가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하루에 1첩씩 먹는다. 다 먹은 뒤에 성생활을 하면 반드시 임신이 된다. 이 약은 백발백중 한다[의감].
주002)
당귀(當歸):당귀의 약리적인 효능은 어떠한가. 당귀란 참당귀의 뿌리를 말하며 고려시대 목귀초(目貴草), 당적(當赤)이라고도 하였다. 1600년대에는 숭엄초불휘라고도 하였다. 다른 이름으로 숙근초(宿根草)라고도 한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 비타민 이(E) 등이 들어 있다. 월경을 조절하고 월경통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으니,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두드러져 빈혈에 유효하고 일반 타박상이나 현전성 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용하면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변비에 복용하면 장관운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통변을 쉽게 한다. 이 밖에도 빈혈로 오는 두통, 관절염 등에 널리 사용한다.
*보혈(補血) 기능-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의 처방은 사물탕과 사군자탕에 바깥을 지켜주는 황기와 안을 데워주는 육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물탕에 대표약이 당귀다. 즉 피의 성분이 되는 약이다.
*활혈(活血) 기능- 혈액순환의 기능을 이른다. 당귀는 혈액을 잘 흐르게 하고 어혈을 제거한다. 대표적인 처방으로 당귀 수산이라는 처방이 있다. 이는 당귀의 뿌리가 주로 많이 쓰인다. 여기서 당귀는 어혈을 제거하고 진통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래서 타박상이나 산후에 뱃속에 어혈을 당귀가 제거시키는 작용을 한다.
*변비 치료- 당귀는 변비에 쓰인다. 당귀가 가지고 있는 보혈기능과 함께 장을 움직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혈액이 부족해서 장이 잘 안 움직이는 경우 보혈기능과 장을 움직이는 기능으로 변을 잘 볼 수 있게 한다.
*자궁 수축 기능- 당귀는 임산부가 출산하기 전에 복용을 하게 되면 출산 시에 자궁의 수축력을 키워주며, 자궁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머리를 검게 머리를 안 빠지게 하는 기능- 당귀는 머리에 작용해서 나쁜 기운을 밑으로 끌고 내려가며 머리에 피가 많이 가게 해서 머리가 빠지거나 희게 되는 것을 막아준다. 당귀차 끓여 먹는 법은 물 1리터를 기준으로 봤을 때, 당귀 20~30그램을 깨끗한 물에 넣고 흔들어 씻고 난 뒤, 물 1리터에 씻은 당귀를 부직포에 담아 넣고 센 불로 끓이고 끓기 시작하면 약한 불로 30분 이상 달이면 된다.
주003)
천궁(川芎):쳔궁.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약초. 흔히 재배하는 식물로 키는 30~60센티이다. 잎은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난다. 난형(卵形)의 잔잎은 깃털처럼 깊게 패어 있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밑 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흰색의 꽃은 겹산형[複傘形] 꽃차례에 달리며 총포(總苞)와 작은 총포는 각각 5~6개로 선형이고 열매는 익지 않는다. 한국에는 같은 천궁속(川芎屬 cnidium)에 속하는 식물로 잎이 깃털 모양의 겹잎이고 열매에 날개 같은 능선이 각각 10개가 있는 벌사상자·개회향과 바닷가에서 비스듬히 자라고 겹산형 꽃차례가 아닌 갯사상자가 자생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음위·간질·대하·치풍 치료에 쓴다. 보익제·진정제·진통제·강장제로 사용한다. 한 약재로 쓰는 천궁은 고르지 못한 혹 모양으로 덩어리를 이룬 뿌리줄기인데 길이 2~7센티, 지름 2~5센티며 흔히 목심(木心)이 노출되어서 연쇄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암갈색을 나타내고 쭈글쭈글 하다. 쪼갠 면은 거칠고 연한 갈색이나 유황색을 나타내고 강한 향기가 있다. 7~8월에 천궁이 완전히 자랐을 때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없애고 말린다.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 알코올, 페놀성 물질 등이 있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쓰다. 주로 간경·담경·심포경(心包經)에 작용하며 삼초(三焦)에도 작용한다. 천궁의 효능으로는 활혈행기(活血行氣)·거풍지통(祛風止痛:풍사를 제거해서 통증을 치료함)이 있다. 월경통·희발월경(稀發月經)·과소월경(過小月經)·무월경(無月經) 등으로 입술색이 담백하고 안면이 창백하며 하복통 등의 피 모자람증이 있을 때는 천궁을 사용해서 피 돌림을 잘 시키고 진통하며, 아울러 다른 보혈재를 배합한다. 천궁의 약성은 거풍력(祛風力)이 세므로 주로 풍한증의 두통이나 풍습으로 인한 편두통에 유효하다. 따라서 온갖 두통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간기울결(肝氣鬱結)로 인한 어혈두통, 즉 신경증 등으로 인한 자율신경 실조로 두부혈관의 수축·확장에 장애가 생겼을 때 시호·지각·적작약·도인·홍화 등을 배합하여 간울(肝鬱)을 풀고 피 돌림을 좋게 하여 통증을 가라앉힌다. 풍습이나 기체(氣滯)로 인한 혈관폐색이나 근육에 대한 혈액의 영양장애 등으로 인해 생긴 전신의 동통·마목·마비에 사용한다. 다발성 신경염·뇌혈관연축(腦血管攣縮)·뇌 혈전 후유증 등으로 인한 마비·류머티즘·만성 신경성 류머티즘 등에 의한 동통·마목·경련 등에 천궁을 다른 거풍양혈약과 같이 사용한다. 이밖에 혈류를 촉진하여 다른 약의 작용을 도움으로써 담마진·습진 등에도 많이 배합된다. 이때 용량은 적은 편이 좋다. 월경이 많거나 출혈성 질환에 좋으나 몸이 더운 때에는 삼가야 된다.
주004)
즈의 듯다가 누을 제:찌꺼기는 두었다가 자기 전에. ‘즈의’는 찌꺼기를 이르며 ‘두었다가’는 ‘두었다’로 풀이한다. ‘누울 제’는 자기 위하여 눕는 것을 이른다.
주005)
 자면 일뎡 잉니라:함께 자면 반드시 아이를 밴다. 여기 ‘’는 한군데를 이르며 부부가 잠자리를 함께함을 이른다. ‘일뎡’은 ‘반드시’로 풀이한다. 지금도 현대 중국어에서는 ‘반드시’로 통용된다. ¶你一定學習韓國歷史.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