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태산집요

  • 역주 언해태산집요
  •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자식을 구하여 낳을 방법[求嗣]
  •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메뉴닫기 메뉴열기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固本健陽丹

언해태산집요 2ㄱ

熟地黃 山茱萸【酒烝各三兩】 巴戟【二兩】 兎絲子【酒煮】 續斷【酒浸】 遠志【薑製】 蛇床子【炒各一兩半】 白茯神 山藥【酒烝】 牛膝【酒浸】 杜冲【炒】 當歸【酒洗】 肉蓯蓉【酒浸】 五味子 益智仁【塩水炒】 鹿茸【酥灸各一兩】 加枸杞子【三兩】 人蔘【二兩】
右搗爲末蜜丸梧子大每取九十丸空心塩湯或溫酒呑下臨臥再服男子服【萬病回春】
Ⓒ 편찬 | 허준 / 1608년 1월 일

고본건양단주001)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대체로 임신하지 못하는 이유는 정혈이 멀겋고 차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한 탓으로 콩팥의 신수가 약화되어 정액이 여성의 자궁으로 곧바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성의 모혈(母血)이 모자라거나 허약하고 찬 데만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니다. 찐지황(숙지황), 산수유 각각 120그램, 파극 80그램, 새삼씨(토사자), 속단(술에 담갔다 낸 것), 원지(법제한 것), 뱀도라지 열매(사상자, 닦은 것) 각각 60그램, 백복신, 마(산약, 술로 축여 찐 것), 쇠무릎(우슬, 술로 씻은 것), 두충(술로 씻은 다음 썰어서 연유를 발라 볶아 실을 버린 것), 당귀(술로 씻은 것), 육종용(술에 담갔다 낸 것), 오미자, 익지인(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각각 40그램, 인삼 80그램.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의 씨알 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고 잠잘 무렵에 다시 먹는다[회춘].
은 슉디황 산슈유 술 무텨주002)
술 무텨:
술을 부어. ‘무텨’는 기본형이 ‘무티다’이며, 부사형 어미가 붙어 연철된 형이다. ¶비스기 부들 무텨[斜點筆](두시언해초 15:12).
니주003)
니:
찌니. 기본형은 ‘다’이고, 설명형 어미 ‘-니’가 통합되어 쓰인 형임.
각 석 냥 파극 두 냥 토 술의 달히니 쇽단 술의 니 원지 강즙에 봇니주004)
봇니:
볶은 것. 기본형은 ‘볷다’인데 관형형 어미가 통합되고 다시 연철되어 쓰인 형임. 옛말에 시옷이 받침으로 올 경우 거의 쌍기역 받침으로 변동되었다. 낫ㄱ다〉낚다, 갓ㄱ다〉깎다 등.
샤상 봇니 각  냥 반 복신 산약 술 적셔 니 우슬 술의 니 들[두]튱

언해태산집요 2ㄴ

봇니 당귀 술의 시니 육죵용 술의 니 오미 익디인 소곰믈에 봇니 녹용 소유 라 구으니 각  냥의 구긔 석 냥 인 두 냥 가입야 디허주005)
디허:
찧어. 기본형은 ‘딯다’이고, 부사형 어미 ‘-어’를 연철시켜 적은 형. 구개음화와 경음화에 따라서 ‘딯다〉짛다〉찧다’로 소리가 변동되었다.
 라 에 라 오동 가티 비븨여  아환식 아젹긔 소곰믈이나 슨 술의나 고 누을 제  머그되 나 머그라
Ⓒ 언해 | 허준 / 1608년 1월 일

고본건양단은 숙지황과 산수유를 술에 담갔다가 찐 것을 각 석 냥 파극 두 냥, 토사자 술에 달인 것과 속단 술에 담은 것과 원지를 생강즙에 볶은 것, 사상자 볶은 것 각 한 냥 반, 백복신과 산약을 술에 적셔 찐 것, 소 무릎을 술에 담은 것과 두충 볶은 것, 당귀를 술에 씻은 것과 육종용 술에 담은 것, 오미자와 익지인 소금물에 볶은 것과 녹용을 소유에 발라 구운 것을 각 한 냥에 구기자 석 냥, 인삼 두 냥을 더하여 찧어 가루로 만든다. 이것을 오동자와 같이 비비여 매 아흔 알씩 아침에 소금물이나 따뜻한 술로 삼키고 누울 때 또 먹되 남자가 먹어라.
Ⓒ 역자 | 정호완 / 2010년 7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대체로 임신하지 못하는 이유는 정혈이 멀겋고 차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한 탓으로 콩팥의 신수가 약화되어 정액이 여성의 자궁으로 곧바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성의 모혈(母血)이 모자라거나 허약하고 찬 데만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니다. 찐지황(숙지황), 산수유 각각 120그램, 파극 80그램, 새삼씨(토사자), 속단(술에 담갔다 낸 것), 원지(법제한 것), 뱀도라지 열매(사상자, 닦은 것) 각각 60그램, 백복신, 마(산약, 술로 축여 찐 것), 쇠무릎(우슬, 술로 씻은 것), 두충(술로 씻은 다음 썰어서 연유를 발라 볶아 실을 버린 것), 당귀(술로 씻은 것), 육종용(술에 담갔다 낸 것), 오미자, 익지인(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각각 40그램, 인삼 80그램.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의 씨알 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고 잠잘 무렵에 다시 먹는다[회춘].
주002)
술 무텨:술을 부어. ‘무텨’는 기본형이 ‘무티다’이며, 부사형 어미가 붙어 연철된 형이다. ¶비스기 부들 무텨[斜點筆](두시언해초 15:12).
주003)
니:찌니. 기본형은 ‘다’이고, 설명형 어미 ‘-니’가 통합되어 쓰인 형임.
주004)
봇니:볶은 것. 기본형은 ‘볷다’인데 관형형 어미가 통합되고 다시 연철되어 쓰인 형임. 옛말에 시옷이 받침으로 올 경우 거의 쌍기역 받침으로 변동되었다. 낫ㄱ다〉낚다, 갓ㄱ다〉깎다 등.
주005)
디허:찧어. 기본형은 ‘딯다’이고, 부사형 어미 ‘-어’를 연철시켜 적은 형. 구개음화와 경음화에 따라서 ‘딯다〉짛다〉찧다’로 소리가 변동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