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태산집요

  • 역주 언해태산집요
  •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자식을 구하여 낳을 방법[求嗣]
  • 여금단(女金丹)
메뉴닫기 메뉴열기

여금단(女金丹)


언해태산집요 4ㄴ

女金丹
當歸【二兩】 白芍藥 川芎 赤石脂 藁本 人蔘 白薇 牧丹皮 桂心 白芷 白朮 白茯苓 玄胡索 沒藥【各一兩】 甘草【五錢】
右除石脂沒藥外餘藥剉 酒浸三日焙乾 搗爲末 足十五兩 又香附米一斤水醋浸三日略炒爲末足十五兩 合和密丸彈子 大每取一丸雞未鳴時 先以溫茶或薄荷湯漱口 乃細嚼以溫酒 或白湯送下乾物壓之 服至四十日卽效 眞女中金丹也【丹溪附錄◯廣嗣要語一名曰玉鑰啓榮丸婦人服】
Ⓒ 편찬 | 허준 / 1608년 1월 일

언해태산집요 5ㄱ

녀금단주001)
여금단(女金丹):
녀금단. 두음 법칙에 따라서 ‘녀금단〉여금단’으로 읽는다. 한나라의 아하(我霞)라는 사람이 만든 처방이다. 약재는 백출·당귀·천궁·적석지·백미·목단피·현호색·인삼·고본·백작약·육계·몰약·백복령·감초 각 40그램, 향부자 600그램을 바탕으로 한다. 향부자는 식초에 3일간 담갔다가 불에 말리고 식초는 반드시 전통적인 초를 사용해야 된다. 적석지와 몰약을 제외한 나머지 약재는 술에 3일간 담갔다가 불에 말린다. 이상의 약재들을 모두 가루로 하여 토종꿀로 오미자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1일 2회 식간에 따뜻한 술로 50~60환씩 복용한다. 이 약의 효능은 여성에게 성약(聖藥)이라 할 수 있는 향부자를 주된 약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피를 보하고 맑게 하는 효능이 있는 당귀와 백작약을 가미하고, 기(氣)를 보하는 효능이 있는 백출과 인삼을 더하였다. 또한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는 천궁·현호색·몰약을 가미하고, 자궁출혈을 해소하는 효능을 지닌 백미·목단피를 가미하였다. 따라서 상기 처방은 자궁이 허하고 어혈이 차 오래도록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해소하는 데 효능을 지니고 있다.
은 당귀 두 냥 샤[쟉]약 쳔궁 젹셕지 고본 인 미 모란피 계심 지 튤 복녕 현호삭 몰약 각  냥 감초 다 돈 이 젹셕지과 몰약 밧주002)
밧:
밖의. 기본형은 ‘밧’이고 기역 곡용을 하다가 아예 녹아 붙어 ‘밧(ㄱ)〉〉밖’으로 굳어져 쓰인다.
약을 싸라 술의 사 갓다가 나여 블에 뢰여 디허  열단 냥 고  향부 니주003)
니:
만든 것. 형태분석은 ‘-+ㄴ(관형형)+-이(의존명사)’와 같으며 연철되어 소리가 이어난 것을 그대로 적은 것이다.
 근을 초애 믈  가 사마 나여 잠 봇 디허  열단 냥 라 두 를 섯거 에 라 탄티 비븨여   환을  아니 우러셔 몬져 채[차]나 박하 달힌 믈로 양지[치]고  십고  술이나 더운 믈뢰나 고주004)
고:
삼키고. 기본형은 ‘다’인데 부사형 어미 ‘-고’가 붙어 통합된 형임. ¶다(역어유해 상:54).
 것 시버 리오라 마은 환 머그면 효험 인니 진짓 겨집의게 금단주005)
금단(金丹):
선단(仙丹). 이 약을 먹으면 오래 살고 신선이 된다고 전해 온다.

언해태산집요 5ㄴ

 약이라
Ⓒ 언해 | 허준 / 1608년 1월 일

여금단은 당귀 두 냥과 백작약, 천궁과 적석지, 고본과 인삼, 백미와 모란피, 계심과 백지, 백출과 백복령, 현호삭과 몰약 각 한 냥, 감초 다섯 돈 이를 적석지와 몰약을 제외한 나머지 약재를 썰어 술에 사흘 동안 담갔다가 내어 불에 말리어 찧어 가루 열다섯 냥 만든다. 또 향부자로 만든 것 한 근을 초에 물을 타서 담가 사흘만에 내여 잠깐 볶아 찧어 가루 열다섯 냥을 만든다. 이 두 가루를 섞어 꿀에 말아 탄자 같이 비비어 매 한 알씩을 닭이 울기 전에 먼저 차나 박하 달인 물로 이를 닦고 찬찬히 씹어 먹고 따스한 술이나 더운 물로 삼킨다. 마른 것을 씹어 먹으라. 마흔 알 먹으면 효험이 있다. 짐짓 여성에게는 금단 같은 약이다.丹溪附錄廣嗣要語一名曰玉鑰啓榮丸婦人服】
Ⓒ 역자 | 정호완 / 2010년 7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금단(女金丹):녀금단. 두음 법칙에 따라서 ‘녀금단〉여금단’으로 읽는다. 한나라의 아하(我霞)라는 사람이 만든 처방이다. 약재는 백출·당귀·천궁·적석지·백미·목단피·현호색·인삼·고본·백작약·육계·몰약·백복령·감초 각 40그램, 향부자 600그램을 바탕으로 한다. 향부자는 식초에 3일간 담갔다가 불에 말리고 식초는 반드시 전통적인 초를 사용해야 된다. 적석지와 몰약을 제외한 나머지 약재는 술에 3일간 담갔다가 불에 말린다. 이상의 약재들을 모두 가루로 하여 토종꿀로 오미자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1일 2회 식간에 따뜻한 술로 50~60환씩 복용한다. 이 약의 효능은 여성에게 성약(聖藥)이라 할 수 있는 향부자를 주된 약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피를 보하고 맑게 하는 효능이 있는 당귀와 백작약을 가미하고, 기(氣)를 보하는 효능이 있는 백출과 인삼을 더하였다. 또한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는 천궁·현호색·몰약을 가미하고, 자궁출혈을 해소하는 효능을 지닌 백미·목단피를 가미하였다. 따라서 상기 처방은 자궁이 허하고 어혈이 차 오래도록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해소하는 데 효능을 지니고 있다.
주002)
밧:밖의. 기본형은 ‘밧’이고 기역 곡용을 하다가 아예 녹아 붙어 ‘밧(ㄱ)〉〉밖’으로 굳어져 쓰인다.
주003)
니:만든 것. 형태분석은 ‘-+ㄴ(관형형)+-이(의존명사)’와 같으며 연철되어 소리가 이어난 것을 그대로 적은 것이다.
주004)
고:삼키고. 기본형은 ‘다’인데 부사형 어미 ‘-고’가 붙어 통합된 형임. ¶다(역어유해 상:54).
주005)
금단(金丹):선단(仙丹). 이 약을 먹으면 오래 살고 신선이 된다고 전해 온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