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태산집요

  • 역주 언해태산집요
  •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열 가지 해산할 징조[十産候]
  • 열 가지 해산할 징조 007-애산
메뉴닫기 메뉴열기

열 가지 해산할 징조 007-애산


礙産謂兒轉之時臍帶攀掛兒肩不能脫故雖露頂而不得出令産母仰臥收生者輕輕推兒近上徐徐通手以中指按兒兩肩理脫臍帶候兒正順方服藥用力
Ⓒ 편찬 | 허준 / 1608년 1월 일

애산은 닐온 아기 돌 제 복주001)
복:
배꼽. 음절도치에 따라서 ‘복〉배꼽’으로 형이 바뀌어 쓰인 것임.
주레 아긔 엇게 걸여

언해태산집요 25ㄱ

벗디 몯 모로 비록 뎡바기주002)
뎡바기:
정수리의 함경도 방언. 구개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서 ‘뎡바기〉졍바기〉정바기’로 소리가 변동되었다.
내와다도 나디 몯 니 내힐 사이 만만 아기를 우흐로 밀고 날회여 손 녀허 가온대 가락으로 아긔 두 엇게를 눌러 복 주를 벗기고주003)
복 주를 벗기고:
배꼽의 줄을 벗기고.
아기 바 슌케야주004)
슌케야:
순하게 하여야. 단모음화에 따라서 ‘슌-〉순-’으로 소리가 변동 된다.
약 먹고 힘 라
Ⓒ 언해 | 허준 / 1608년 1월 일

애산은 이른바 아기 돌 때 배꼽 줄에 아기의 어깨가 걸려 벗어나지 못 하므로 비록 정수리가 나와도 나오지 못한다. 아기 받는 사람이 가만히 아기를 위로 밀고 천천히 손을 넣어 가운데 가락으로 아기의 두 어깨를 눌러 배꼽 줄을 벗기고 아기가 바르고 순하게 나오도록 약을 먹고 힘을 써라.
Ⓒ 역자 | 정호완 / 2010년 7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복:배꼽. 음절도치에 따라서 ‘복〉배꼽’으로 형이 바뀌어 쓰인 것임.
주002)
뎡바기:정수리의 함경도 방언. 구개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서 ‘뎡바기〉졍바기〉정바기’로 소리가 변동되었다.
주003)
복 주를 벗기고:배꼽의 줄을 벗기고.
주004)
슌케야:순하게 하여야. 단모음화에 따라서 ‘슌-〉순-’으로 소리가 변동 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