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태산집요

  • 역주 언해태산집요
  •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아기를 낳기 전의 모든 병증[産前諸證]
  • 자식을 밴 부인의 임질[子淋]
  • 삼출음(參朮飮)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출음(參朮飮)


參朮飮治轉胞 四物湯加人蔘白朮半夏陳皮各一錢 甘草五分 右剉煎 取先飮後探吐 每日爲之 歷試皆驗【丹溪方】
Ⓒ 편찬 | 허준 / 1608년 1월 일

튤음은 뎐포 고티니 믈탕의 인 튤 반하 딘피 각  돈 감초 반돈 이 싸라 달혀 먹고 믿바다 손 녀허 둘워주001)
둘워:
둘러. 기본형은 ‘둘우다’이고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된 형임. ¶ 벼를 둘우매 世界 便安도다(금강경삼가해 5:49).
토키주002)
토키:
토하기. 기본형은 ‘토다’이고 여기에 명사형 어미 ‘-기’가 통합되고 음절이 줄면서 격음화 현상이 따른다.
를 날마다 라 디내니 다 됴터라
Ⓒ 언해 | 허준 / 1608년 1월 일

삼출음은 전포를 고친다. 사물탕에 인삼과 백출, 반하와 진피 각 한 돈, 감초 반 돈 이를 썰어 달여 먹고 밑바닥에 손을 넣어 둘러 토하게 하기를 날마다 하라, 지내보니 좋았다.
Ⓒ 역자 | 정호완 / 2010년 7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둘워:둘러. 기본형은 ‘둘우다’이고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된 형임. ¶ 벼를 둘우매 世界 便安도다(금강경삼가해 5:49).
주002)
토키:토하기. 기본형은 ‘토다’이고 여기에 명사형 어미 ‘-기’가 통합되고 음절이 줄면서 격음화 현상이 따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