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태산집요

  • 역주 언해태산집요
  •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자식을 구하여 낳을 방법[求嗣]
  • 자식을 구하여 낳을 방법 001-의학입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자식을 구하여 낳을 방법 001-의학입문


醫學入門曰 男子精冷 婦人血衰 皆不成胎
Ⓒ 편찬 | 허준 / 1608년 1월 일

의입문주001)
의학입문(醫學入門):
중국 명(明)나라의 이천(李梴)이 지은 전통 의학에 관한 책. 19권. 이 책을 쓰게 된 실마리는 지은이가 병에 걸려 여러 의학서를 보고 요령을 삼을 만한 책이 없고 의학에 들어가기가 어렵다고 판단, 저술을 시작하였다. 살펴 보건대, 왕숙화(王叔和)의 〈맥결(脈訣)〉과 이동원(李東垣)의 약성편주와 병기(病機), 〈의방첩경(醫方捷經)〉·〈의학권여(醫學權輿)〉 등의 책은 편집이 잘 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상한론(傷寒論)〉·〈활인서(活人書)〉·〈백문가(百問歌)〉 등의 경우 편집은 잘 되어 있지만 어려서부터 배우지 않으면 잘 알기 힘들었다. 〈의경소학(醫經小學)〉은 편집이 잘 되어 있고 내용이 간단하여 들어가기의 책이 될 만하나 처방이 확실하지 않고 뜻이 너무 간단하여 배우는 사람이 다가서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의학입문〉을 만들게 된 동기가 되었다. 〈의학입문〉은 내집(內集) 9권과 외집(外集) 10권으로 되어 있다. 내집에는 운기(運氣)·경락·장부·문진·맥진·침구·본초 등으로 나누어 실었다. 외집은 온서(溫署)·상한(傷寒)·내상(內傷)·잡병·용약·부인·소아·옹저(癰疽)·개창(疥瘡) 및 습유(拾遺) 치료 방법의 얼개로 되어 있다. 내상은 이동원과 여러 이름난 학자의 설을 참고, 침구는 난경(難經)과 소문(素問)의 내용을 따랐고, 본초는 의경소학과 의방첩경석약집운(醫方捷徑釋藥集韻)을 기본으로 했으며, 상한은 도씨육서(陶氏六書)를 위주로 했고 잡병은 위(危)씨의 득효방(得效方) 및 단계용약총법(丹溪用藥總法)을 바탕으로 했다. 온서는 유하간(劉河間)의〈원병식(原病式)〉에 힘입었고, 부인과는 〈부인양방〉을 따르고, 소아과는 양사영(楊士瀛)의 설을 따르고, 두증(痘證)은 〈의학정전〉을 중심으로 했고 외과는 〈외과추요(外科樞要)〉를 참고, 내용을 갖추어 대체로 정평 있는 외가의 의서를 망라하여 완성한 것이다. 특히 본초 930종을 효용에 따라 치풍(治風)·치열(治熱)·치습(治濕)·치조(治燥)·치한(治寒)·치창(治瘡)·식치(食治) 등 7문으로 나누고 각 문을 또 몇 개의 세목으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대규모로 약물을 정리하여 의학에 입문하는 사람에게 알기 쉽게 지은 점이 두드러진다. 〈의학입문〉은 〈동의보감〉보다 30여 년 앞서서 출간되었다. 〈동의보감〉의 편찬에 많이 인용되었고, 조선시대의 의사 시험에 〈의학입문〉이 기본과목이 되는 등 한국 의학 발전에 디딤돌이 되었다.
오주002)
오:
가로되. 기본형은 ‘오다[曰]’이고, 활용형이 온전하지 않은 불구동사다. 형태분석은 ‘오-(어간)+-(구속형 어미)’와 같다. 이러한 불구동사에 ‘다그다, 달다, 데리다’ 등이 있다.
나 졍긔 니과주003)
니과:
찬 이와. ‘다[寒]’의 관형형에 의존명사 ‘이’가 연철되어 쓰인 것임.
겨집 혈긔 쇠니주004)
쇠니:
쇠약한 이는. 기본형 ‘쇠다’에 관형형 어미가 붙어 연철한 형태.
다 긔 몯 되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 1월 일

의학입문에 일렀으되, 사나이 정기가 찬 사람과 부인의 혈기가 약한 이는 다 태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 역자 | 정호완 / 2010년 7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의학입문(醫學入門):중국 명(明)나라의 이천(李梴)이 지은 전통 의학에 관한 책. 19권. 이 책을 쓰게 된 실마리는 지은이가 병에 걸려 여러 의학서를 보고 요령을 삼을 만한 책이 없고 의학에 들어가기가 어렵다고 판단, 저술을 시작하였다. 살펴 보건대, 왕숙화(王叔和)의 〈맥결(脈訣)〉과 이동원(李東垣)의 약성편주와 병기(病機), 〈의방첩경(醫方捷經)〉·〈의학권여(醫學權輿)〉 등의 책은 편집이 잘 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상한론(傷寒論)〉·〈활인서(活人書)〉·〈백문가(百問歌)〉 등의 경우 편집은 잘 되어 있지만 어려서부터 배우지 않으면 잘 알기 힘들었다. 〈의경소학(醫經小學)〉은 편집이 잘 되어 있고 내용이 간단하여 들어가기의 책이 될 만하나 처방이 확실하지 않고 뜻이 너무 간단하여 배우는 사람이 다가서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의학입문〉을 만들게 된 동기가 되었다. 〈의학입문〉은 내집(內集) 9권과 외집(外集) 10권으로 되어 있다. 내집에는 운기(運氣)·경락·장부·문진·맥진·침구·본초 등으로 나누어 실었다. 외집은 온서(溫署)·상한(傷寒)·내상(內傷)·잡병·용약·부인·소아·옹저(癰疽)·개창(疥瘡) 및 습유(拾遺) 치료 방법의 얼개로 되어 있다. 내상은 이동원과 여러 이름난 학자의 설을 참고, 침구는 난경(難經)과 소문(素問)의 내용을 따랐고, 본초는 의경소학과 의방첩경석약집운(醫方捷徑釋藥集韻)을 기본으로 했으며, 상한은 도씨육서(陶氏六書)를 위주로 했고 잡병은 위(危)씨의 득효방(得效方) 및 단계용약총법(丹溪用藥總法)을 바탕으로 했다. 온서는 유하간(劉河間)의〈원병식(原病式)〉에 힘입었고, 부인과는 〈부인양방〉을 따르고, 소아과는 양사영(楊士瀛)의 설을 따르고, 두증(痘證)은 〈의학정전〉을 중심으로 했고 외과는 〈외과추요(外科樞要)〉를 참고, 내용을 갖추어 대체로 정평 있는 외가의 의서를 망라하여 완성한 것이다. 특히 본초 930종을 효용에 따라 치풍(治風)·치열(治熱)·치습(治濕)·치조(治燥)·치한(治寒)·치창(治瘡)·식치(食治) 등 7문으로 나누고 각 문을 또 몇 개의 세목으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대규모로 약물을 정리하여 의학에 입문하는 사람에게 알기 쉽게 지은 점이 두드러진다. 〈의학입문〉은 〈동의보감〉보다 30여 년 앞서서 출간되었다. 〈동의보감〉의 편찬에 많이 인용되었고, 조선시대의 의사 시험에 〈의학입문〉이 기본과목이 되는 등 한국 의학 발전에 디딤돌이 되었다.
주002)
오:가로되. 기본형은 ‘오다[曰]’이고, 활용형이 온전하지 않은 불구동사다. 형태분석은 ‘오-(어간)+-(구속형 어미)’와 같다. 이러한 불구동사에 ‘다그다, 달다, 데리다’ 등이 있다.
주003)
니과:찬 이와. ‘다[寒]’의 관형형에 의존명사 ‘이’가 연철되어 쓰인 것임.
주004)
쇠니:쇠약한 이는. 기본형 ‘쇠다’에 관형형 어미가 붙어 연철한 형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