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태산집요

  • 역주 언해태산집요
  •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해산도를 붙일 법[貼産圖法]
  • 아기 낳을 땅에 비는 축문[借地法]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기 낳을 땅에 비는 축문[借地法]


○借地法

아기 나  비주001)
비:
비는. 기본형은 ‘빌다’이고 관형형 ‘-’이 통합되었다.
츅문주002)
축문(祝文):
츅문. 축문은 유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각종 상례·제례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일정한 내용과 형식을 따른다. 보통 서두를 ‘유세차 모년 모월 모일 모시’로 시작하여 ‘상향(尙饗)’으로 마무리 한다. 조부모를 위한 기제사의 축문인 경우 ‘유세차간지 기월간지삭 기일간지 효손모 감소고우(維歲次干支幾月干支朔幾日干支孝孫某敢昭告于)’로 시작하며, ‘아무 해 아무 날 효손 아무개는 감히 밝게 고하나이다. 해가 바뀌어 할아버지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잔을 드리오니 드소서.’라는 뜻이다. 또 다른 축문으로 중요한 것은 마을 굿에 쓰이는 것이다. 당산 굿과 같은 마을공동체 신앙에 축문이 도입된 것은 조선시대부터다. 원시형의 당제에서는 축이 없으며, 특히 상민들이 주동이 되어 제를 지내는 마을에서는 축이 약했으나 차츰 유교식 제례가 민중들에게 보급되면서 널리 축문이 사용되었다. 보통은 마을에서 한문을 읽을 줄 아는 이를 축관으로 뽑아서 축을 읽힌다. 내용은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고, 오곡이 풍요로우며 병충해와 질병이 없어 마을 사람은 물론이고 가축들도 무사하고 태평할 것을 기원한다. 축문은 각 지방별로 관행상의 차이가 있으며, 보관하는 경우와 태워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라
Ⓒ 언해 | 허준 / 1608년 1월 일

아기 낳을 땅에 비는 축문

呪曰東借十步 西借十步 南借十步 北借十步 上借十步 下借十步 壁房之中四十餘步安産借地恐有穢汚或有東海神王或有西海神王或有南海神王或有北海神王或有日遊將軍白虎夫人遠去十丈軒轅招搖擧高十丈天符地軸入地

언해태산집요 66ㄱ

十丈令此地空閑産婦某氏安居無所妨礙無所畏忌諸神擁護百邪逐去急急如律令勑【和劑】
Ⓒ 편찬 | 허준 / 1608년 1월 일

아기 낳을 땅에 비는 축문이라.
Ⓒ 역자 | 정호완 / 2010년 7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비:비는. 기본형은 ‘빌다’이고 관형형 ‘-’이 통합되었다.
주002)
축문(祝文):츅문. 축문은 유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각종 상례·제례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일정한 내용과 형식을 따른다. 보통 서두를 ‘유세차 모년 모월 모일 모시’로 시작하여 ‘상향(尙饗)’으로 마무리 한다. 조부모를 위한 기제사의 축문인 경우 ‘유세차간지 기월간지삭 기일간지 효손모 감소고우(維歲次干支幾月干支朔幾日干支孝孫某敢昭告于)’로 시작하며, ‘아무 해 아무 날 효손 아무개는 감히 밝게 고하나이다. 해가 바뀌어 할아버지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잔을 드리오니 드소서.’라는 뜻이다. 또 다른 축문으로 중요한 것은 마을 굿에 쓰이는 것이다. 당산 굿과 같은 마을공동체 신앙에 축문이 도입된 것은 조선시대부터다. 원시형의 당제에서는 축이 없으며, 특히 상민들이 주동이 되어 제를 지내는 마을에서는 축이 약했으나 차츰 유교식 제례가 민중들에게 보급되면서 널리 축문이 사용되었다. 보통은 마을에서 한문을 읽을 줄 아는 이를 축관으로 뽑아서 축을 읽힌다. 내용은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고, 오곡이 풍요로우며 병충해와 질병이 없어 마을 사람은 물론이고 가축들도 무사하고 태평할 것을 기원한다. 축문은 각 지방별로 관행상의 차이가 있으며, 보관하는 경우와 태워버리는 경우가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