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4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4
  • 5백제자수기품 제8
  • 5백제자수기품 서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5백제자수기품 서문


법화경언해 권4:1ㄴ

三周說法에 各隨機領悟와 而述成與記시니 前化城品에 因緣說一周로 以被下根야시 滿慈ㅣ 與五百羅漢等과로 於此애 領悟와 佛이 爲述成샤 與記실 故로 曰五百授記品이라 然이나 此애 先記滿慈시고 次記五百시니 千二之衆이로 而特取五百야 名品者 滿慈 乃大弟子ㅣ라 內秘外現야 爲衆標領일 雖先與記시나 非是當機며 又千二예 居末은 不當名品

법화경언해 권4:2ㄱ

故也ㅣ라 十大弟子ㅣ 無非上根이라 領悟得記ㅣ 本無先後ㅣ언마 但各專一德야 隨機摠衆耳니 滿慈ㅣ 說法第一이오 而五百羅漢도 常說無上道故로 號爲普明이라 시니 是當說法之機故로 以滿慈로 摠之시니 如阿難羅云도 亦大弟子ㅣ로 而摠學衆니 各有以也니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三周 說法에 各各 機 조차 주001)
조차:
좇아. 좇-[從].
領悟와 주002)
와:
하거늘. -+오+아.
述成 주003)
술성:
하던 일을 이어서 마자 이룸.
샤 記 주시니 알 주004)
알:
앞에. 앒[前]+(방편자리토).
化城品에 因緣說 一周로 下根 주005)
하근:
소질이나 능력이 떨어지는 이.
니펴시 주006)
니펴시:
입히시거늘. 니피-[被].
滿慈 주007)
만자:
부르나미다라니자. 부루나. 부처님 10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설법 제1임.
ㅣ 五百 羅漢콰

법화경언해 권4:2ㄴ

이 領悟와 부톄 爲샤 述成샤 記 주실 닐오 五百授記品이라 그러나 이 몬져 주008)
몬져:
먼저.
滿慈 記시고 버거 주009)
버거:
다음. 다음으로.
五百을 記시니 千二 衆이로 特別히 五百 가져 品 일훔 지호 주010)
일훔 지호:
이름 붙임은. 이름 지음은. 짛-+옴/움+.
滿慈 大弟子ㅣ라 안해 초고 주011)
초고:
감추고. 초-[藏].
밧긔 주012)
밧긔:
밖에. +의.
現야 한 사믜 標領이 욀 주013)
욀:
되므로. 외-+ㄹ.
비록 몬져 記 주시나 當 記ㅣ 아니며  千二예 末애 잇닌 品 일훔 지호매 當티 몯 젼라 주014)
젼라:
까닭이다. 젼+ㅣ라.
十大弟子ㅣ 上根 주015)
상근:
소질이나 능력이 뛰어난 이.
아니니 업서 領悟야 記 得호미 本來 先後ㅣ 업건마 오직 各各  德을 올와 주016)
올와:
온전하게 하여. 올오-[全]+아.
機 조차 衆을 모도자 미니 滿慈ㅣ 說法 第一이오 五百 羅漢도 녜 주017)
녜:
늘. 항상.
無上道 니 주018)
니:
이르므로.니르-/니를-/니-[至].

법화경언해 권4:3ㄱ

ㅣ 普明이라 시니 이 說法호매 當 機 주019)
-:
-이므로.
滿慈로 모도자시니 阿難 羅云도  大弟子ㅣ로 學衆 모도잡 주020)
모도잡:
거느리듯이. 모도잡-[攝].
니 各各 젼 잇니 주021)
잇니:
있으니. 있는 것이다. 여기의 ‘니’는 장면 전환 기능으로 쓰여서 맺음씨끝으로 풀이함.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3주설법 주022)
3주설법:
듣는 이의 소질에 따라 같은 것을 세 번(=법설, 비유설, 인연설) 반복하여 설법하는 것.
에 각각 근기를 따라 영오 주023)
영오:
마음에 깊이 깨달아 앎.
하거늘, 술성하시어 수기를 주시니, 앞의 화성유품에서는 인연설 1주로 하근을 입히시거늘, 만자는 5백 나한들과 〈더불어〉 여기서 영오하니까, 부처님이 위하시어 술성하셔서 수기를 주시므로 이르기를 5백제자수기품이라 했다. 그러나 여기서 먼저 만자에게 수기를 주시고 다음으로 5백 제자에게 수기를 주시니, 〈이는〉 1천2백 대중 주024)
1천2백 대중:
법화경을 설하는 자리에 모인 1천2백의 나한들.
이나 특별히 5백 주025)
5백:
5백 나한들.
명만을 가지고 품의 이름을 지은 것은, 만자는 큰 제자라서 안으로는 감추고 밖으로는 〈은근히〉 나타내어 많은 사람의 표령 주026)
표령:
뛰어나서 우두머리가 됨.
이 되므로 비록 먼저 수기를 주셨으나, 마땅한 근기가 아니었으며, 또 1천2백이 끝에 있는 것은 품의 이름 지음에 마땅하지 못한 까닭이다. 10대 제자 주027)
10대 제자:
석가모니 부처님 제자 가운데 가장 뛰어난 특징이 있는 열 사람.
가 상근 아닌 이가 없어 영오하여 수기 얻음이 본래 앞뒤가 없건마는 오직 각각 한 가지 덕을 온전하게 하여 근기를 따라 대중을 거느릴 따름이니, 만자는 설법 제1이고 5백 나한들도 항상 위없는 도를 설하므로 호를 보명이라 하시니, 이 설법함에 마땅한 근기이므로 만자로 하여금 거느리듯 하니, 아난 주028)
아난:
아난타. 10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다문(多聞) 제1임.
나운 주029)
나운:
나후라. 석존의 아들. 10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밀행(密行) 제1임.
도 또 큰 제자이므로 학중 주030)
학중:
많은 수의 학인(수행자).
을 거느리듯이 하니 각각 까닭이 있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9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조차:좇아. 좇-[從].
주002)
와:하거늘. -+오+아.
주003)
술성:하던 일을 이어서 마자 이룸.
주004)
알:앞에. 앒[前]+(방편자리토).
주005)
하근:소질이나 능력이 떨어지는 이.
주006)
니펴시:입히시거늘. 니피-[被].
주007)
만자:부르나미다라니자. 부루나. 부처님 10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설법 제1임.
주008)
몬져:먼저.
주009)
버거:다음. 다음으로.
주010)
일훔 지호:이름 붙임은. 이름 지음은. 짛-+옴/움+.
주011)
초고:감추고. 초-[藏].
주012)
밧긔:밖에. +의.
주013)
욀:되므로. 외-+ㄹ.
주014)
젼라:까닭이다. 젼+ㅣ라.
주015)
상근:소질이나 능력이 뛰어난 이.
주016)
올와:온전하게 하여. 올오-[全]+아.
주017)
녜:늘. 항상.
주018)
니:이르므로.니르-/니를-/니-[至].
주019)
-:-이므로.
주020)
모도잡:거느리듯이. 모도잡-[攝].
주021)
잇니:있으니. 있는 것이다. 여기의 ‘니’는 장면 전환 기능으로 쓰여서 맺음씨끝으로 풀이함.
주022)
3주설법:듣는 이의 소질에 따라 같은 것을 세 번(=법설, 비유설, 인연설) 반복하여 설법하는 것.
주023)
영오:마음에 깊이 깨달아 앎.
주024)
1천2백 대중:법화경을 설하는 자리에 모인 1천2백의 나한들.
주025)
5백:5백 나한들.
주026)
표령:뛰어나서 우두머리가 됨.
주027)
10대 제자:석가모니 부처님 제자 가운데 가장 뛰어난 특징이 있는 열 사람.
주028)
아난:아난타. 10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다문(多聞) 제1임.
주029)
나운:나후라. 석존의 아들. 10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밀행(密行) 제1임.
주030)
학중:많은 수의 학인(수행자).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