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4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4
  • 5백제자수기품 제8
  • 2. 게송으로 거듭 밝히다 [1] 안은 보살 밖은 성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2. 게송으로 거듭 밝히다 [1] 안은 보살 밖은 성문


二. 重頌
爾時世尊이 欲重宣此義샤 而說偈言샤
文三○一. 頌述成 二○初. 述權應
諸比丘아 諦聽라 佛子所行道 善學方便故로 不可得思議니 知衆의 樂小法야 而畏於大智 是故諸菩薩이 作聲聞緣覺야 以無數方便으로 化諸衆生類

법화경언해 권4:22ㄴ

호 自說是聲聞이라 去佛道ㅣ 甚遠호라 야 度脫無量衆야 皆悉得成就니 雖小欲懈怠나 漸當令作佛이니라 內秘菩薩行고 外現是聲聞야 少欲厭生死나 實自淨佛土ㅣ니라 示衆有三毒며 又現邪見相야 我弟子ㅣ 如是히 方便으로 度衆生니 若我ㅣ 具足說 種種現化事면 衆生聞是者ㅣ 心

법화경언해 권4:23ㄱ

則懷疑惑리라

〔본문〕 그 주001)
:
때에. [時]+의.
世尊이 이 들 다시 펴려 샤 偈 니샤 주002)
니샤:
이르시되. 니-[說].
文三○一. 頌述成 二○初. 述權應

법화경언해 권4:23ㄱ

諸比丘아 仔細히 드르라 주003)
드르라:
들어라. 듣-[聞]+으라.
. 佛子 行 道 方便을 이대 호 젼로 시러 주004)
시러:
능히. 얻어. 싣/실-[得]+어.
思議 몯니 衆의 小法 즐겨 大智예 전  주005)
전 :
두려워하는 줄을. 젛-[畏]++ㄴ (+).
알 이런 로 주006)
로:
까닭으로.
諸菩薩이 聲聞 주007)
성문: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닫는 성자.
緣覺 주008)
연각:
벽지불.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혼자 깨닫는 이.
외야 無數 方便으로 諸衆生類 化호 제 닐오 주009)
닐오:
이르되.
이 聲聞이라 佛道애 버로미 주010)
버로미:
벌어짐이. 떠남이. 버-[去].
甚히 머로라 주011)
머로라:
멀구나. 멀-[遠]+오라.
야 無量衆을 度脫 주012)
도탈:
해탈함.
야 다 成就 得게 니 비록 欲 젹고 게으르나 漸漸 반기 부텨 외에 주013)
외에:
되게. 외-[爲].
니라 안해 주014)
안해:
안에. 안ㅎ+애.
菩薩行을 초고 밧긔 주015)
밧긔:
밖에. +의.
聲聞을 現야 欲 젹고 生死 슬나 주016)
슬나:
싫으나. 슳-[厭]+나.
實로 제 佛土 조케 호미라 衆의게 三毒 주017)
3독:
탐하는 마음과 성냄과 어리석음.
이쇼 주018)
이쇼:
있음을.
뵈며 주019)
뵈며:
보이며.
邪見 주020)
사견:
부정한 생각.
相 現야 내 弟子ㅣ 이 티 方便으로 衆生 濟度니 다가 주021)
다가:
만약. 만일.

법화경언해 권4:23ㄴ

種種로 現야 化논 이 초 니면 衆生이 이 드르리 주022)
드르리:
들을 사람. 듣-+을+이.
매 疑惑 머그리라 주023)
머그리라:
먹으리라. 품으리라.

〔본문〕 그 때에 세존이 이 뜻을 다시 펴려 하시어 게를 이르시되, “모든 비구들아, 자세히 들어라. 불자가 행하는 도는 방편을 잘 배우는(=배운) 까닭으로 능히 생각하지 못하니, 중생이 소승의 법을 즐겨 큰 지혜를 두려워하는 줄 알므로 이러므로 모든 보살이 성문, 연각이 되어서 수없는 방편으로 모든 중생의 부류를 교화하되, 스스로가 이르기를 ‘이것은 성문이라서 불도에서 벌어짐이 심히 멀도다.’ 하고, 한량없는 중생을 도탈하여 다 성취하게 하니, 비록 욕망이 적고 게으르나 점점 〈닦아서〉 반드시 부처 되게 하느니라. 안으로 보살행을 감추고 밖으로는 성문을 나타내어 욕망이 적고 생사가 싫으나, 실로 스스로 불토를 깨끗하게 함이다. 중생에게 3독 있음을 보이며, 또 사견의 모습을 나타내므로, 내 제자가 이와 같은 방편으로 중생을 제도하니, 만일 내가 갖가지로 나타내어 변화된 일을 갖추어 이르면, 중생이 이를 들은 이가 마음에 의혹을 품으리라.

此 通擧諸大弟子의 權應之德샤 述成滿慈의 內秘外現之行也시니라 自善學方便으로 至度無量衆야 悉得成就 皆權應之德也ㅣ오 小欲懈怠나 漸令作佛은 言善化也시니라 少欲厭生死 則外現之事ㅣ오 實自淨佛土 則內秘之事ㅣ라 示三毒現邪見等者 諸大弟子의 權迹이 皆由示

법화경언해 권4:24ㄱ

化彼類니 如舍利弗이 與羅度와 爭勝은 卽示瞋也ㅣ오 難陁의 愛婦 示貪也ㅣ오 調達의 害佛은 示癡也ㅣ니 是謂三毒이오 憍陳如와 三迦葉等이 昔爲外道 卽現邪見也ㅣ라 其大權이 難測故로 聞者ㅣ 疑惑리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4:24ㄱ

이 諸大弟子의 주024)
권:
방편.
으로 應 德을 通히 드러 주025)
드러:
들어. 들-[擧].
니샤 주026)
니샤:
이르시어.
滿慈 주027)
만자:
부처님 제자 중 설법제일의 부루나미다니자.
 內秘外現 行 述成시니라 善學方便 브터 주028)
브터:
붙어. 의지하여.
度無量衆야 悉得成就예 니를린 다 權으로 應 德이오 小欲懈怠나 漸令作佛은 이대 주029)
이대:
잘. 좋게.
化호

법화경언해 권4:24ㄴ

니시니라 少欲猒生死 外現논 이리오 주030)
이리오:
일이고. 일+이+고. ‘ㄱ’ 탈락 또는 약화.
實自淨佛土 內秘논 이리라. 示三毒現邪見 주031)
:
들은.
諸大弟子 權엣 자최 주032)
자최:
자취[跡]가. 자초+ㅣ.
주033)
뎌:
저.
類 뵈야 주034)
뵈야:
보여. 보게 해. 뵈-+아.
化호 브트니 주035)
브트니:
붙으니. 의지하니.
舍利弗 주036)
사리불:
부처님 제자 중 지혜제일.
羅度 주037)
나도:
와 이긔욤 토 곧 瞋 뵈요미오 주038)
뵈요미오:
보임이고.
難陀의 거[겨]집 호 貪 뵈요미오 調達의 부텨 害오 주039)
오:
함은.
癡 뵈요미니 이 니샨 주040)
니샨:
이르신. 이른바.
三毒 주041)
3독: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세 가지 번뇌.
이오 憍陳如 주042)
교진여:
아야교진나. 부처님 성도 후 최초의 제자 5명 중의 한 사람.
三迦葉 주043)
3가섭:
우루빈가섭, 나제가섭, 가야가섭의 세 부처님 제자.
等이 주044)
녜:
옛.
外道 외요 곧 邪見 뵈요미라 그 大權 주045)
대권:
불,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모습을 바꾸어 나타나는 것.
이 아로미 어려울 드르리 주046)
드르리:
들을 이가.
疑惑리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이는 모든 큰 제자들에게 방편으로 응하는 덕을 통틀어 들어 이르시고, 만자의 안으로 감추고 밖으로 나타내는 ‘행’을 술성하신 것이다. ‘방편을 잘 배우는’부터 ‘한량없는 중생을 도탈하여 다 성취를 얻게 하여’까지는 방편으로 응하는 덕이고, ‘욕망이 적고 게으르나 점점 〈닦아서〉 부처되게 하리라.’는 잘 교화함을 이르신 것이다. ‘욕망이 적고 생사를 싫어한다’는 것은 밖으로 나타내는 일이고, ‘실로 스스로 불토를 깨끗하게 함’은 안으로 감추는 일이다. ‘중생들에게 3독 있음을 보이고 또 사견의 모습을 나타낸다.’는 것은 모든 큰 제자의 방편의 자취를 다 저 부류들에게 보여 교화함을 말미암으니, 사리불이 나도와 이김을 다툼은 곧 성냄을 보임이고, 난타가 계집 사랑함은 탐욕을 보임이고, 조달이 부처님을 해함은 어리석음을 보임이니, 이것이 이른바 3독이고, 교진여와 3가섭 등이 옛적에 외도가 되었던 것은 곧 사견을 보임이다. 그 대권을 헤아림이 어려우므로 들을 이가 의혹하리라고 한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9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때에. [時]+의.
주002)
니샤:이르시되. 니-[說].
주003)
드르라:들어라. 듣-[聞]+으라.
주004)
시러:능히. 얻어. 싣/실-[得]+어.
주005)
전 :두려워하는 줄을. 젛-[畏]++ㄴ (+).
주006)
로:까닭으로.
주007)
성문: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닫는 성자.
주008)
연각:벽지불.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혼자 깨닫는 이.
주009)
닐오:이르되.
주010)
버로미:벌어짐이. 떠남이. 버-[去].
주011)
머로라:멀구나. 멀-[遠]+오라.
주012)
도탈:해탈함.
주013)
외에:되게. 외-[爲].
주014)
안해:안에. 안ㅎ+애.
주015)
밧긔:밖에. +의.
주016)
슬나:싫으나. 슳-[厭]+나.
주017)
3독:탐하는 마음과 성냄과 어리석음.
주018)
이쇼:있음을.
주019)
뵈며:보이며.
주020)
사견:부정한 생각.
주021)
다가:만약. 만일.
주022)
드르리:들을 사람. 듣-+을+이.
주023)
머그리라:먹으리라. 품으리라.
주024)
권:방편.
주025)
드러:들어. 들-[擧].
주026)
니샤:이르시어.
주027)
만자:부처님 제자 중 설법제일의 부루나미다니자.
주028)
브터:붙어. 의지하여.
주029)
이대:잘. 좋게.
주030)
이리오:일이고. 일+이+고. ‘ㄱ’ 탈락 또는 약화.
주031)
:들은.
주032)
자최:자취[跡]가. 자초+ㅣ.
주033)
뎌:저.
주034)
뵈야:보여. 보게 해. 뵈-+아.
주035)
브트니:붙으니. 의지하니.
주036)
사리불:부처님 제자 중 지혜제일.
주037)
나도:
주038)
뵈요미오:보임이고.
주039)
오:함은.
주040)
니샨:이르신. 이른바.
주041)
3독: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세 가지 번뇌.
주042)
교진여:아야교진나. 부처님 성도 후 최초의 제자 5명 중의 한 사람.
주043)
3가섭:우루빈가섭, 나제가섭, 가야가섭의 세 부처님 제자.
주044)
녜:옛.
주045)
대권:불,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모습을 바꾸어 나타나는 것.
주046)
드르리:들을 이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