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4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4
  • 5백제자수기품 제8
  • 5. 계주의 비유 [2] 비유를 들다 1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계주의 비유 [2] 비유를 들다 1


二. 設喩 二○一. 喩昔因
世尊하 譬如有人이 至親友家야 醉酒而臥ㅣ어 是時예 親友ㅣ 官事로 當行야 以無價寶珠로 繫其衣裏야 與之而去야

법화경언해 권4:37ㄱ

其人이 醉臥야 都不覺知야

법화경언해 권4:37ㄴ

起已遊行야 到於他國야 爲衣食故로 勤力求索야 甚大艱難야 若少有所得면 便以爲足거

〔본문〕

법화경언해 권4:37ㄴ

世尊하 가비건댄 주001)
가비건댄:
비유하면. 가비-[譬]+거+ㄴ댄.
사미 親 버듸 주002)
버듸:
벗의. 벋[友]+의.
지븨 주003)
지븨:
집에.
가 술 醉야 누엣거늘 주004)
누엣거늘:
누웠거늘. 눕-[臥].
이  親 버디 주005)
버디:
벗이. 벋[友].
그윗 주006)
그윗:
관청의. 그위[官廳].
일로 녀믈 주007)
녀믈:
다님을. 녀-[行]+옴/움+을.
當야 값 업슨 주008)
업슨:
없는.
寶珠르[로] 옷 소배 주009)
소배:
속에. 솝[裏]+애.
야 주010)
야:
매어. -[繫].
주고 니거 그 사미 醉야 누어 다 아디 몯야 니러 노녀 다 나라해 주011)
나라해:
나라에. 나라ㅎ[國].
가 衣食 爲혼 젼

법화경언해 권4:38ㄱ

주012)
젼로:
까닭으로. 젼[故]+로.
브즈러니 힘 求야  艱難야 젹거니 어둔 주013)
어둔:
얻은.
거시 이시면 곧 足 삼거늘

〔본문〕 세존이시여, 견주건대 〈어떤〉 사람이 친한 벗의 집에 가서 술에 취해 누웠는데, 이 때에 〈그 벗이〉 공무로 〈다른 곳에〉 감을 당해서 값〈을 매길 수〉 없는 귀한 보배 구슬을 〈자는 벗의〉 옷 속에 매어 주고 〈길을〉 떠났는데, 그 사람은 취해 누워 있어서 다 알지 못하여 〈깨어〉 일어나 노닐며 다른 나라에 가서 옷과 밥을 위한 까닭으로 부지런히 힘써 구하여도 매우 가난해서 적은 것이라도 얻은 것이 있으면 곧 만족함을 삼았습니다.

親友ㅣ 繫珠 譬佛이 預十六菩薩時예 爲說法華샤 結大乘因也ㅣ라 醉酒而臥 譬我ㅣ 預千萬億衆時예 皆生疑惑야 昏昏如醉也ㅣ라 官事當行은 卽佛이 化 將畢실 제 餘處에 利生이시니 公而不黨故로 譬官事오니라 起已遊行은 轉迷也ㅣ오 到於他國은 棄本也ㅣ오 爲衣食等은 樂小也ㅣ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親 버디 구슬 요 주014)
요:
매는 것은. -[繫]+옴/움+.
부톄 十六 菩薩애 參預 주015)
참예:
참여.
신 제 爲

법화경언해 권4:38ㄴ

야 法華 니샤 주016)
니샤:
이르시어. 니-[說]+시+아/어.
大乘 因 샤 주017)
샤:
맺으심을. -[結]+시+옴/움+.
가비오니라 주018)
가비오니라:
비유합니다. 가비-[譬]+오+니+라.
술 醉야 누우 주019)
누우:
누움은. 눕-[臥]+옴/움+.
내 千萬億 衆에 參預 제 다 疑惑 내야 주020)
내야:
내어. 내-[生]+아/어.
아히 주021)
아히:
혼미하게[昩].
醉 호 주022)
호:
듯함을. -+옴/움+.
가비오니라 그윗 일로 념 當호 곧 부톄 化  실 쩨 주023)
실 쩨:
마치실 때에. -[畢]+시+///+제.
녀나 고대 주024)
고대:
곳에. 곧[處].
衆生 利샤미니 번샤 주025)
번샤:
공정하시어. 번-[公]+시+아/어.
黨 아니실 그윗 이레 가비오니라 니러 뇨 더 迷惑호미오 다 나라해 가 주026)
가:
감은. 가는 것은. 가-[到]+옴/움+.
根源 료미오 주027)
료미오:
버림이고. 리-[棄].
衣食 爲홈 주028)
위(爲)홈:
위한 것들은. 위(爲)-+옴/움+ㅎ+.
져근 法 즐교미라 주029)
즐교미라:
즐김이다. 즐기는 것이다. 즐기-[樂].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친한 벗이 구슬을 매어 줌’은 부처님이 16보살에 참여하셨을 제 〈중생〉 위하여 법화경을 설법하시어 대승의 ‘인’ 맺으심을 견주신 것이다. ‘술 취해 누움’은 내가 천만억 중생에 참여했을 제 다 의혹을 내어 혼미하게 취한 듯함을 견준 것이다. ‘공무로 길 떠남’은 곧 부처님 교화를 장차 마치실 제 다른 곳의 중생을 이롭게 하심이니, 공정하셔서 당(=무리를 짓는 것)이 아니므로 공무에 견준 것이다. ‘일어나 다님’은 더 미혹함이고, ‘다른 나라에 감’은 근원을 버린 것이고, ‘의식을 위함’들은 작은 법을 즐김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9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비건댄:비유하면. 가비-[譬]+거+ㄴ댄.
주002)
버듸:벗의. 벋[友]+의.
주003)
지븨:집에.
주004)
누엣거늘:누웠거늘. 눕-[臥].
주005)
버디:벗이. 벋[友].
주006)
그윗:관청의. 그위[官廳].
주007)
녀믈:다님을. 녀-[行]+옴/움+을.
주008)
업슨:없는.
주009)
소배:속에. 솝[裏]+애.
주010)
야:매어. -[繫].
주011)
나라해:나라에. 나라ㅎ[國].
주012)
젼로:까닭으로. 젼[故]+로.
주013)
어둔:얻은.
주014)
요:매는 것은. -[繫]+옴/움+.
주015)
참예:참여.
주016)
니샤:이르시어. 니-[說]+시+아/어.
주017)
샤:맺으심을. -[結]+시+옴/움+.
주018)
가비오니라:비유합니다. 가비-[譬]+오+니+라.
주019)
누우:누움은. 눕-[臥]+옴/움+.
주020)
내야:내어. 내-[生]+아/어.
주021)
아히:혼미하게[昩].
주022)
호:듯함을. -+옴/움+.
주023)
실 쩨:마치실 때에. -[畢]+시+///+제.
주024)
고대:곳에. 곧[處].
주025)
번샤:공정하시어. 번-[公]+시+아/어.
주026)
가:감은. 가는 것은. 가-[到]+옴/움+.
주027)
료미오:버림이고. 리-[棄].
주028)
위(爲)홈:위한 것들은. 위(爲)-+옴/움+ㅎ+.
주029)
즐교미라:즐김이다. 즐기는 것이다. 즐기-[樂].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